지난해 미국 자동차 판매량이 2009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
CNN머니는 3일(현지시각)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이 증가한 것과는 반대로 미국 자동차 판매량은 하락했다”고 보도했다.
자동차 시장 분석업체인 오토데이터(Autodata Corp.) 조사에 따르면 2017년 자동차 총 판매량은 1720만 대로 2016년 판매량인 1755만 대보다 1.8%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월 주요 자동차 업체들의 미국 판매량 역시 2016년 같은 기간 대비 줄어들었다. 제너럴모터스(NYSE:GM)는 3.3%, 도요타(NYSE:TM)는 8.3%, 혼다(TYO:7267)는 7%, 닛산(TYO:7201)은 9% 이상 하락했다.
일각에서는 미국의 신차 판매량 감소 원인을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지목하고 있다.
블룸버그 통신은 3일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증가와 반대로 미국 내 판매량만 감소하고 있는 것은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 장벽이 높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차 구매에 대한 서민들의 수요가 줄어들었다는 해석이다.
자동차 판매 대수 하락과 반대로 평균 매출액은 높을 수 있다는 예측이 나온다. 전통적으로 판매 수요가 높던 세단 대신 크로스오버차량(CUV)과 같이 단가가 비싼 모델의 인기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CNN머니는 “미국의 자동차 구매자들은 2017년 자동차 한 대 당 평균 3만5082달러를 지불했으며 이는 1년 전에 비해 2.3% 증가한 수치”라고 전했다.
북미 지역 차량 판매가 주춤한 것과 반대로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판매된 자동차는 처음으로 9000만대를 넘어섰다. 다음달 최종 집계될 2017년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은 9450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CNN머니는 “자동차 공유 서비스 이용이 증가했지만 글로벌 차량 판매가 최고치를 기록할 수 있던 이유는 아시아, 서유럽, 브라질, 러시아 등 신흥 시장에서 판매량이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중국의 지난해 차량 판매량은 2016년에 비해 2.5%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다.
오토스위치의 선임 산업 분석가인 미셸 크레브(Michelle Krebs)는 “7년 연속 글로벌 차량 판매량이 상승한 것은 전례 없는 일”이라면서 “렌트카 업체의 구매 비중은 감소했지만 소비자 판매량은 여전히 높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