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이 구형 아이폰 기기 성능을 고의로 떨어뜨리고 있다는 의혹에 대해 사실이라고 20일(현지 시각) 공식 인정했다.
애플은 공식 성명을 통해 "우리의 목표는 고객에게 최상의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라며 "여기에는 종합적인 성능과 함께 최대한의 기기 수명 보장도 포함된다. 아이폰에 탑재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배터리 잔량이 적거나 추운 곳에 있을 경우 전력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고, 예상치 못하게 기기가 꺼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애플은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이폰 기기의 성능 저하를 선택했다"고 설명했다.
애플은 "아이폰6, 아이폰6S 및 아이폰SE의 기기가 갑자기 종료되는 사태를 막기 위해 전력공급 관련 속도지연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실시했다"며 "해당 업데이트는 다른 제품에도 추가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며, 이 업데이트로 인해 해당 기기들의 전력 공급이 원활해질 것"이라고 밝혔다.
애플이 의도적으로 구형 아이폰 기기 성능을 제한하고 있다는 의혹은 지난 9일 미국 뉴스 온라인 커뮤니티 '레딧'에서 처음 제기됐다. 레딧의 한 유저는 "애플이 구형 아이폰 사용자가 최신 아이폰을 구매하도록 고의적으로 구형 아이폰 성능을 제한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뉴스 웹사이트 '더버지'는 이날 "애플이 새 아이폰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서 의도적인 속도지연을 했다는 의혹을 뒷받침하는 모양새가 됐다"며 "애플과 소비자의 소통방식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미국 IT(정보기술) 전문지 '테크크런치'도 이날 "애플이 배터리 수명 저하로 인한 문제를 고민하고 있었다면 실제 아이폰을 사용 중인 사용자들과의 소통을 우선적으로 해야 했었다"며 "애플의 소통 방식이 실패했다"고 지적했다.
입력 2017.12.21. 10:18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