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아래 두 장의 ‘북극 여우’ 사진을 보자.

암컷의 경우 3kg에 불과한 북극여우가 핀란드의 사육업자들은 5배로 살을 찌워 모피 생산량을 극대화한다.


북극여우는 육식을 하는 개과(科)의 포유동물로, 캐나다·아이슬란드·핀란드 등 추운 지방에서 서식한다. 몸길이 50~60cm에, 몸무게는 다 큰 암컷이 3.2kg, 수컷이 9.4kg정도다. 비교적 작은 여우종(種)이다. 그런데 왼쪽 사진의 북극여우는 무게가 약 18kg으로, 살이 접히도록 찐 뱃가죽은 늘어졌고, 목 주변 살은 얼굴을 뒤덮을 것 같다.

무슨 일일까. 바로 북극여우의 털 때문이다. 북극여우의 털은 다른 일반 여우에 비해, 보온 기능이 50% 가량 더 뛰어나다고. 게다가 기온이 내려가면 털이 200% 가량 더 자라, 영하 70도의 환경에서도 살아남을 수 있다. 당연히 모피 의류를 만드는 사람에게는 '매력적인' 동물이라고.
위의 대조적인 두 사진은, 핀란드 사육업자들이 '모피 생산량'을 극대화하려고 북극여우를 우리에 가둬 놓고 일부로 살을 5배 정도 더 찌운 결과다.

24일 핀란드의 동물보호단체인 '동물을 위한 정의(Justice for Animal)'는 "동물들의 살을 일부러 더 찌우는 것은 농장 주에게는 더 많은 이익을 줄지 몰라도, 동물들은 잔인하게 살을 찌워야 하는 고통에 시달린다"며 자국 내 북극여우 사육의 비윤리적 실태를 고발했다.

루이뷔통 영국 웹사이트에 소개된 북극여우털 조끼 상품과 가격

이 협회는 이렇게 사육된 ‘비만 북극여우’의 털이 루이뷔통(Louis Vuitton) 같은 유명 브랜드의 모피 의류 소재로 쓰인다고 주장했다. 루이뷔통 사는 또 매년 동물 250만 마리의 털을 유통하는 핀란드의 모피 유통사 ‘사가 퍼(Saga Furs)’의 주요 고객이라고. 루이뷔통 영국 웹사이트에서 북극여우 털로 만든 조끼는 4500파운드(약 690만 원)에 팔린다.

18kg까지 강제로 살이 찐 북극여우의 뱃가죽이 늘어져 바닥에 끌린다.

‘동물을 위한 정의’ 측은 “털을 벗겨 옷을 제작하는 돔물 학대 및 도살 행위를 당장 멈춰야 한다”고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