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중국공장 4곳 가동 중단…'사드보복 6개월' 치명상]
[송영무 "사드 추가 배치 이해 바란다" 반대 주민에 편지]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판매 부진에 시달리던 현대자동차가 중국 공장 5곳 중 4곳의 가동을 중단했다. 현금 흐름에 차질 빚는 현대차가 대금 지급을 제때에 하지 못하자 일부 현지 부품사가 공급을 끊으면서 생산 라인이 멈춰 선 것이다. 중국 정부가 뒤에서 조종하는 사드 보복 여파가 가동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낳았다. 장기화될 경우 공들여 구축한 중국 내 부품 조달 체인이 무너질 가능성도 우려되고 있다.
지난봄부터 본격화된 중국의 사드 보복으로 현대차의 중국 내 판매량은 작년보다 41%나 줄어들었다. 2012년 중·일 영토 분쟁 때 일본 차 메이커들이 겪은 타격을 훨씬 웃돈다. 중국 딜러들이 '반한(反韓) 마케팅'을 펼치고 한국산 불매운동이 벌어지고 있다. 이로 인한 타격은 한국 협력업체에도 고스란히 돌아가고 있다. 현대차와 함께 중국에 진출한 145개 부품업체는 가동률이 40% 밑으로 떨어졌다. 이런 상황이라면 오래 버티기 힘들다고 업체들은 호소하고 있다.
자동차뿐 아니다. 중국에 진출한 롯데마트 매장 99개 가운데 87개가 소방법 위반 등의 석연치 않은 이유로 영업 정지를 당했고, 나머지 매장도 매출이 4분의 1로 줄었다. 화장품·콘텐츠·관광 산업도 중국 정부가 내린 '한한령(限韓令·한류금지령)'의 직격탄을 맞았다. 중국의 보복에 따른 경제 피해 규모가 크게는 22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 모든 치졸한 보복의 뒤에 중국 정부가 있다. 중국 정부가 한국 기업의 목줄을 조이려 보이지 않는 행정력을 가동하고 있다는 정황은 차고 넘칠 정도로 많다. 중국 관영 매체들은 한국산을 찍어 불매운동을 부추기고 있다. 외국산의 시장 접근 방해를 금지한 세계무역기구(WTO) 규정과 글로벌 통상규범을 명백하게 위배한 것이다. 상호 보완적인 윈·윈(상생) 모델을 구축한 한·중 경제협력 관계에도 도움되지 않는다. 무엇보다 자기 비위에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보복의 칼날을 마구 휘두르는 중국의 치졸함에 국제사회가 놀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