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국무령이었던 석주(石洲) 이상룡(李相龍·1858~1932) 선생의 생가이자 고성 이씨 가문의 종택인 경북 안동의 임청각(臨淸閣·보물 182호) 복원에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안동시 법흥동 법흥교 옆에 있는 임청각은 조선 세종 때 좌의정을 역임한 이원(李原)의 여섯째 아들 영산현감 이중공과 형조좌랑을 역임한 이중공의 셋째 아들 이명이 1519년 지었다. 대청에 걸려 있는 현판은 퇴계 이황 선생의 친필로 알려졌다.

일제 강점기 때 만주에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무장 독립운동의 토대를 닦은 석주(石洲) 이상룡 선생(왼쪽 사진). 석주 선생의 생가인 경북 안동의 임청각(臨淸閣) 앞으로는 철로가 놓여 있다.

[안동 전통고택, 하계휴가 장소로 '인기몰이']

[문화재청, 조선왕조실록 세계기록유산 지정서 원본을…]

석주 선생은 경술국치 이듬해인 1911년 1월 식솔들을 이끌고 만주로 망명길에 올라 동지들과 신흥무관학교를 세우고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조상 대대로 물려받은 전답과 임청각까지 처분해 독립운동 자금으로 썼다고 한다. 일제는 1942년 독립운동의 정기를 끊어버리겠다며 임청각 땅의 상당 부분을 수용한 다음 마당 가운데로 중앙선 철길을 놓았다. 이 바람에 임청각 99칸 중 50여 칸이 뜯겨 나갔다.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된 이상룡 선생을 비롯,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한 임청각은 15일 이목을 끌었다. 문재인 대통령이 이날 광복절 경축사를 하면서 "독립운동의 산실이자, 대한민국 노블레스 오블리주(상류층의 도덕적 의무)를 상징하는 공간"으로 칭송했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5월 27일 임청각을 찾았고, 지난 10일에는 이낙연 국무총리가 여름휴가지로 이곳을 방문하기도 했다.

안동시와 문화재청은 지난 2014년 1억원을 들여 임청각 주변 시설을 정비한 데 이어 지난해부터는 4억3000여 만원을 들여 사당 지붕 보수 등을 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이 마무리되는 2020년쯤이면 철로가 임청각에서 6㎞ 밖으로 옮겨진다. 안동시는 기존 철로가 철거되는 대로 문화재청과 임청각의 원형을 복원하는 사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유홍대 안동시 문화예술과장은 "임청각 복원과 함께 이상룡 선생의 나라 사랑 정신을 기리는 학술대회와 기념관 건립 등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