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얼음 공장마다 식용 얼음은 색소로 물을 들여 만들도록 할 것." 1957년 1월 12일 보사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별난 지시를 내렸다. 불법 유통되는 불결한 '한강 얼음'을 식용으로 쓰지 못하게 하기 위해 안전한 공장 얼음에 표시를 하려는 것이었다(조선일보 1957년 1월 14일자).
한겨울 꽁꽁 언 한강에서 잘라낸 얼음을 저장해 놓았다가 여름에 꺼내 쓰는 일은 조선시대부터 있어 온 것이기는 했다. 한 세기 전엔 냉면에도 한강 얼음을 풍덩 넣어 먹을 정도로 강물이 깨끗했다. 1920년대 중반 공장 얼음이 본격 판매되기 시작한 뒤에도 여름철 경성(京城) 시민들 얼음 수요의 절반쯤을 한강 얼음으로 충당했다. 그러나 광복 후 강물이 오염되자 정부는 1948년부터 한강 얼음을 먹지 말라고 경고했다. 1955년부터는 얼음 채취 자체를 금지했다.
하지만 돈을 노린 업자들은 한강 얼음 채취와 판매를 그치지 않았다. 그 무렵 공장 얼음 135㎏짜리 한 덩어리 값이 오늘의 물가로 10만원이 넘었다. 한강 얼음을 그 반값만 받아도 짭짤한 장사였다. 매년 2월 해빙기면 밤마다 한강 얼음판 위에선 톱질 소리가 요란했다. 땅굴에 얼음을 넣고 짚과 왕겨, 톱밥 등을 덮어 두면 조금씩 녹기는 해도 한여름까지 절반 정도를 보존할 수 있었다. 대동강 물 팔아먹었다는 봉이 김선달이 따로 없었다. 한강 얼음 장사는 제조 원가가 '제로'다. 얼음 썰어 나르는 인건비와 저장 비용만 있으면 됐다. 그 인건비조차도 절감하는 묘수가 있었다. 교도소 재소자들을 동원하는 것이었다. 한강과 가까운 마포형무소 등의 수감자들이 종종 동원됐다. 어느 업자에 따르면 재소자 동원은 형무소에나 업자에게나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이었다고 한다. 업자는 싼 임금으로 일을 시켜서 좋고, 형무소 측도 겨울에 할 일 없이 빈둥거리는 수감자들을 동원해 부수입을 올렸기 때문이다. 이 업자는 "재소자들도 얼음 채취 작업을 손꼽아 기다렸다"고 말했다. 콩밥만 먹던 그들이 작업하며 흰 쌀밥을 배부르게 먹고 담배와 막걸리도 즐길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했다(경향신문 1977년 8월 6일자).
세균 투성이 한강 얼음은 1960년대 초까지 일부 식당의 냉면이나 길거리 냉차에 들어갔다. '국민 위생에 암적 존재'란 지탄까지 나왔다. 당국의 단속도 별 효력이 없자 "아예 깨끗한 공장 얼음에 물을 들여 구별하자"는 방안까지 나온 것이다. 그러나 이 '컬러 얼음' 아이디어는 호응을 얻지 못해 흐지부지됐다. 하필이면 얼음에 물들일 색을 노란색으로 결정한 게 문제였다. 냉커피나 냉면 육수 등과 어울리게 하려고 정한 색으로 보이지만, 오줌 빛을 닮은 누리끼리한 얼음이 어떤 반응을 얻었을지는 짐작하기 어렵지 않다.
오늘날엔 자기 집 냉장고에서 얼음을 얼려 먹을 수 있다. 그런데도 공장 얼음 판매량은 무섭게 늘고 있다. 2013년 400억원 규모였던 편의점 얼음 매출이 해마다 급증하더니 폭염이 일찌감치 기승을 부리는 올해는 약 1200억원 규모에까지 이를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지구온난화에 따라 얼음 시장은 계속 커질 것이라고 한다. 제빙업계는 즐거울지 몰라도 환경 파괴의 결과라는 생각을 하면 얼음의 뒷맛이 약간 씁쓸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