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은경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13일 오전 서울 여의도 이룸센터에 마련된 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하고 있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 후보자가 대표로 있는 '지속가능성센터 지우'가 더불어민주당 단체장들로부터 일감을 몰아받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앞서 지속가능센터 지우는 인턴 연구원에게 턱없이 적은 임금을 지급하는 등 '열정페이'를 강요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임이자 국회 환경노동위원회(자유한국당 소속) 의원은 "김 후보자가 운영해온 컨설팅 업체가 특정 정당 단체장들로부터 다수의 수의계약을 맺어 온 사실을 확인했다"며 "이는 도의적으로 심각한 문제"라고 16일 주장했다.

문화일보에 따르면, 김 후보자가 운영 중인 지속가능센터 지우가 지자체와 맺은 연구용역 16개(센터 홍보자료 기준)가 모두 더불어민주당 소속 단체장이 이끄는 지자체와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 경기 수원시, 인천 부평구·남구, 서울 도봉구 등이다. 특히 연구용역 중 상당수가 ‘수의계약’으로 체결돼 건당 2000만 원에서 최고 7700만 원까지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야당 의원들은 용역보고서 중 일부의 경우 투입된 기간 및 비용과 비교하면 보고서 내용이 부실하다고 판단해 인사청문회때 집중 추궁할 계획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자의 남편과 아들에 대한 의혹도 제기됐다. 김 후보자의 남편 정모(65)씨는 현재 서울 노원구청 산하 노원서비스공단에서 기간제 근로자로 근무하고 있다. 김 후보자와 김성환 노원구청장은 1995~2006년 사이 노원구 의원, 서울시 의원, 청와대에서 같이 근무했다. 노원구청 측은 "후보자 남편이 공단에서 근무하는 사실을 청장은 모르고 있었다"고 밝혔다.

이 자리는 경쟁률이 5대 1에 이를 정도로 퇴직 구직자 사이에 인기가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정씨는 지난달 재채용돼 근무 기간이 연장됐다. 아들 정모(27)씨 역시 박원순 서울시장이 주도적으로 설립한 민간연구소 '희망제작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후보자는 이같은 의혹에 대해 답변을 내놓지 않고 있다.

앞서 지속가능센터 지우는 인턴 연구원에게 턱없이 적은 임금을 지급하는 등 '열정페이'를 강요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기도 했다.

지속가능센터 지우는 지난해 6월 연구 및 사무보조 업무를 2~3개월 맡길 인턴 연구원을 뽑기 위해 채용 공고를 냈다. 업무시간은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 급여는 월 100만원으로 명시돼 있었다.

지난해 최저임금이 시간당 6030원인 점을 고려하면 이 급여는 최저임금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인턴 연구원이 주휴 수당을 포함해 점심시간 1시간을 제외하고 최소 월급 110만원을 받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는 "당시 지원자가 없어 실제 인턴 연구원을 채용하지 않았다"고 해명하면서도, 공고를 낸 지 3개월이 지난 지난해 9월 대학생 인턴에게 3개월간 실습 기회를 준 사실이 있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김 후보자는 당시 학생에게 실습기회를 부여한 것이 최저임금법 적용 대상인지 여부 자체를 인지하지 못한 데 대해 인정했다"면서도 "당시 단순 실습생으로서 정해진 업무내용이 없었고, 실습시간도 해외학회 참석, 개인학습 등 개인사정을 감안해 3개월 동안 실습생의 편의에 따라 운영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