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들이 대리·과장·차장·부장 같은 직위를 없애고 직급 체계를 단순화하는 새 인사 제도를 앞다퉈 도입하고 있다. 연공서열에서 탈피해 경영환경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고 수평적, 창의적인 조직문화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LG전자는 7월부터 현재의 5단계 사무직 직급을 3단계로 단순화한다고 31일 밝혔다. 사원 직급만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하고 대리·과장은 '선임'으로, 차장·부장은 '책임'으로 통합한다. LG전자 관계자는 "직급을 단순화하면 직원 사이에 좀 더 편하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이를 통해 자율적인 조직문화가 만들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올 초부터 조직문화 개편을 위해 다양한 제도를 도입하고 있다. 3월부터는 월요일을 '회의 없는 날'로 정해 업무에만 몰입할 수 있도록 했다. 또 매주 금요일에는 정장 대신 청바지 등의 차림으로 출근하는 '캐주얼 데이'를 국내 전 사업장에서 시행하고 있다. LG그룹 내에서는 LG디스플레이LG유플러스도 올해 5개 직급을 3단계로 간소화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부터 기존 7단계 직급 체계를 4단계로 축소했다. 개인의 직무역량 발전 정도를 나타내는 커리어 레벨(Career Level) 1~4로 직급을 구분하고, 직원 간 호칭도 '○○○님'으로 부르도록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삼성바이오에피스는 지난해부터 '프로'와 '담당'으로만 직급을 구분하고 있다. SK텔레콤·SK하이닉스·SK주식회사도 2~3단계로 직급 체계를 간소화해 운영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직급을 단순화하면 인사 적체를 해소하는 효과도 있고, 조직 구조를 시장 상황에 따라 바꾸면서 인력을 재배치하기도 쉬워진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