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24일 미·중·일 특사단과 간담회]

문재인 대통령이 23일 경남 김해 봉하마을에서 열린 노무현 전 대통령 8주기 추도식에 참석해 "이명박·박근혜 정부뿐 아니라 김대중·노무현 정부까지 지난 20년 전체를 성찰하며 성공의 길로 나아갈 것"이라고 했다. 문 대통령은 "현직 대통령으로서 이 자리에 참석하는 것은 오늘이 마지막일 것"이라며 "반드시 성공한 대통령이 돼 다시 찾아오겠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계승자다. 노 전 대통령 죽음을 가장 아파했던 그로서는 대통령이 돼 참석한 이날 추도식에서 남다른 감회를 느꼈을 것이다. 그 감회 속에는 대통령으로서 잘해야겠다는 긍정적 결심과 누군가를 향한 분노의 감정이 섞여 있을 것이다. 그것을 어떤 방향으로 승화시킬 것이냐는 문 대통령 자신에게 달렸다.

추도사에서 문 대통령은 노무현 정부를 뛰어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저의 꿈은 국민 모두의 정부, 모든 국민의 대통령"이라고 했다. 지난 대선에서 문 대통령을 찍지 않았던 나머지 과반(過半)의 국민도 바라는 바다. "저를 지지하지 않았던 국민도 섬기는 통합 대통령이 되겠다"는 문 대통령 당선 소감을 많은 국민은 기억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는 다시 실패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다시 실패하지 않으려면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어제 했던 약속만 지키면 된다. 보수·진보를 떠나 역대 정부의 공과(功過)를 있는 그대로 보고 보수 정권의 정책이라고 해서 무조건 배척하지 않아야 한다. 소통하는 대통령, 권력을 나누는 대통령, 비판에 귀 기울이는 대통령, 야당을 동반자로 여기는 대통령이 되고자 진심으로 노력하면 우리 국민도 5년 뒤 '성공한 대통령'을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선 권위주의 청산과 같은 노무현 정부의 긍정적 측면은 이어받되 진영·적대 정치, 분노·증오 정치와 결별해야 한다. 문 대통령 주변에는 정의(正義)와 불의(不義)라는 이분법적 잣대로 세상을 재단하고 자신들이 하는 건 정의라고 믿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런 인식이 현실로 드러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지금 자신들이 마음대로 지시하고 바꾸고 있지만 같은 일을 전(前) 정권이 했으면 '적폐'라고 했을 것이다. 앞으로 기업과 노동, 정치, 환경 문제는 물론 대북·외교 현안을 놓고 편향된 생각을 밀어붙이는 일이 늘어날 수 있다.

친노·친문 세력의 집권은 그들이 뭘 잘한 게 있어서가 아니다. 순전히 전임 대통령의 아집과 무능 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임자 반사이익도 언제까지나 이어지지 않는다. 언제,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것이 민심이다. 문 대통령이 겸허한 자세로 성공한 대통령의 길을 걷기를 바라고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