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예상보다 무거운 1만6000톤... 운송장비 추가 투입]
전교조가 세월호 3주기를 맞아 올해도 자체적으로 발간한 '진실과 기억을 향한 4·16 교과서'로 계기(契機) 수업을 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교육부는 "부적절한 교재 활용을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계기 수업은 교육과정에 있지 않은 사회 문제 등 특정 주제를 가르칠 필요가 있을 때 하는 교육이다. 학교장 승인을 받으면 교사가 자체적으로 할 수 있다. 전교조는 "(세월호 사고에도 아무도 처벌받지 않았다는 내용 등) 지난해 논란이 된 부분을 수정·보완했기 때문에 문제가 없다"고 주장한다. 반면 교육부는 "세월호 3주기를 맞아 희생자를 추모하고 안전에 대한 계기 교육을 할 필요성은 있지만 여전히 확인되지 않은 의혹, 비교육적 표현 등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서 교육 자료로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본지가 6일 전교조의 초등용과 중등용 '4·16 교과서' 수정본을 입수해보니 여전히 객관적 사실보다 비(非)전문가들의 확인되지 않은 의혹·주장을 담고 있었다. 우선 인양된 세월호에 충돌 흔적이 없음에도 초등 교재에는 "(당일) 세월호 근처를 지나던 외국 선박이 '세월호가 충돌했다'는 교신도 했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중등용 교재는 "야, 나 진짜 죽는 거 아니야? 더 기울어져. 우린 뒤지기 싫다고!" 등 당시 학생들 사이에 오간 대화를 그대로 따라 읽게 한 다음, '만약 내가 세월호 안에 있었다면 했을 만한 말을 상상하여 채워 봅시다'라고 했다. 단원고 사망 학생 이름을 모두 적은 후 '돌아오지 못한 사람들의 이름을 차례대로 소리 내어 불러보세요'라며 '이름을 부르면서 어떤 느낌이 들었는지 써보자'고도 했다.
교육부는 이 부분에 대해 "지나치게 정서적 불안감을 조장할 우려가 있어 교육 자료로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신동 순천향대 교육학과 교수도 "학생들 감성을 자극해 공포나 흥분 상태를 유도하는 것은 적절한 교육 방법이라 볼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교재는 또 당시 무용지물로 드러난 '다이빙벨'을 거듭 언급하며, 당국이 마치 다이빙벨을 일부러 배제하고 실종자를 적극 구조하지 않았다는 식으로 서술했다. 중등 교재 76쪽에는 "어쩐 일인지 구조 당국은 다이빙벨과 같은 구조 장비를 투입한 적이 없다"고 했다. 사실은 당시 민간 구난업자가 다이빙벨을 사용해 구조에 나섰지만 7일간 아무런 성과도 내지 못해 유족들 반발만 샀다. 그러나 교과서는 다이빙벨 실패에 대해 "해경 경비정이 위협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철수한 것"이라고 서술했다.
여기에 일부 비전문가가 제작한 다큐멘터리나 인터넷 방송을 참고 자료로 소개해 확인되지 않은 소문을 퍼트릴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교과서에서 소개한 인터넷 방송 등 제작자들은 과학적 설명 없이 "다이빙벨로 구조할 수 있었다"고 하거나 "세월호 선원들이 고의로 닻을 내려 배를 침몰하게 했다"는 등 근거 없는 주장을 한 인물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