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재질의 비닐이더라도 재활용이 되는 것과 안 되는 것이 있고, 음식 껍질 또한 음식물쓰레기로 분류되는 것이 있고 아닌 것이 있다.
일반적으로 종량제 봉투에 버려지는 쓰레기는 소각하거나 매립하는데, 그 과정에서 환경오염은 물론이고 자원 낭비, 비용 등이 발생해 경제적 손실까지 따른다. 1995년 분리수거 제도가 도입된 이후 정부가 중심이 돼 쓰레기 재활용을 장려해왔고, 많은 국민이 재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쓰레기 가운데 재활용 여부가 헷갈리거나 분류 기준을 잘 몰라 아무렇게나 버릴 때가 종종 있다. 알고 있으면 간단하고, 모르면 귀찮은 '폐기물 분리·배출 방법'을 알아보자.
종이·유리·금속·플라스틱·비닐"내용물 꼭 비우고 버리세요"
스프링노트를 종이류 수거함에 한 번에 버리거나 콜라병을 병뚜껑과 함께 유리병류 수거함에 버리면, 분리수거 의미가 약해진다. 종이류면 종이만, 유리병류면 유리만, 다른 재질과 섞어 버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의류·형광등·건전지·전자제품·가구"전용 수거함에, 없다면 수거 서비스를"
전용 수거함이 있으면 폐기물품을 분류해 넣어두면 되지만, 구비되지 않은 지역도 있다. 이때 주민센터나 무상방문 수거 서비스 센터에 문의를 따로 해야 한다. 요즘은 인터넷이나 모바일로도 수거 서비스를 예약할 수 있다.
음식물"잘게 썰어 물기 꽉 짠 다음 버리세요"
음식물쓰레기는 가축의 사료나 퇴비를 만드는 재료다. 그래서 음식물쓰레기를 버리기 전에 앞서 '동물이 먹을 수 있는 것'인지를 염두에 둬야 한다. 음식물이 아닌 포장지, 이쑤시개, 나무젓가락 등 다른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한다.
지자체별 오락가락 규정에 혼란 가중되기도
서울시는 지난 2015년 4월 '2017년 생활쓰레기 직매립 제로 달성' 대책을 발표하며 예산 8억여 원을 들여 '폐비닐 전용 봉투'를 도입했다. 폐비닐 전용 봉투는 커피믹스, 과자 봉지, 한약 팩, 일회용 비닐봉지 등 비닐 쓰레기만 따로 모아 버리는 봉투다. 그러나 이 사업을 시작한 지 7개월 만에 중단했는데, 주민들이 폐비닐 전용 봉투에 내용물을 제거하지 않은 비닐이나 일반 쓰레기를 담아 버린다는 것이 이유였다. 사업이 중단된 사실을 잘 모르는 주민들은 어디서 폐비닐 전용 봉투를 구할 수 있느냐며 항의했다.
고양시 일부 지역에서는 지난해 초 일회용 스티로폼 용기의 분리수거가 금지됐다. 폐스티로폼값이 떨어지면서 재활용품 수거 업체에서 스티로폼 수거를 거부했기 때문이었다. 갑자기 바뀐 규정에 주민들은 어리둥절한 반응을 보였다.
수원시는 지난해 4월 쓰레기 분리수거 강화를 위해 '종량제 봉투 실명제'를 한 달간 시범 운영하기로 했다. 주민들이 종량제 봉투에 개인 주소나 업소명을 적은 스티커를 붙여 배출해야 했다. 그러나 거짓 정보 작성, 개인정보 유출, 인권 침해, 범죄 악용 가능성 등 부작용을 고려하지 않은 정책이라는 비판을 받고, 전면 시행은 보류됐다.
이렇듯 각 지자체가 쓰레기 감축을 목표로 새로운 사업이나 제도를 도입했다가 예상 밖의 난관에 부딪히면 슬그머니 접는 사례가 허다하다. 방대한 양의 쓰레기가 불러오는 병폐는 대대적으로 알려 주민들의 경각심을 일깨우면서 정작 새 정책의 도입, 또는 기존 정책의 수정이 이뤄진 뒤에는 주민들에게 충분한 공지를 하지 않는 것이다. 또, 주민들은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현행 분리수거 기준을 설명해주는 페이지를 찾기 힘들어 대표번호로 전화를 걸어 정보를 요청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겪고 있다. 일부 지자체는 "매년 정책이 바뀌는 데다 구역별로도 차이가 있어 일일이 게시하기 힘들다"며 홈페이지에서 아예 숨겨놓기도 한다.
국가 환경 정책의 '컨트롤 타워'인 환경부 역시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지적을 여러 시민단체로부터 받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분리수거 정책은 지자체 조례에 따라 달라 환경부에서 모두 파악하고 있지 않다"면서 "우리가 알려줄 수 있는 것은 홍보 책자에 적혀 있으며 자세한 정보는 해당 시군구에 개별 문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쓰레기 분리수거의 장점과 취지는 누구나 이해하고 있다.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을 쓰레기로 버리는 경우의 상당수가 분리배출 규정을 숙지하지 못해 발생한다. 자원이 낭비되고 쓰레기의 총량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새로운 대책도 필요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어떻게 잘 버리는지'를 아는 것이 우선적인 과제다.
■ 참고
한국환경공단
환경부
지자체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