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최경환 의원 등 새누리당 친박 핵심들이 ‘인명진 비상대책위원회’를 저지하기 위해 소속 의원들이나 시·도당 위원장 등 당 핵심 관계자들에게 ‘의리 강조’와 ‘동정심 유발’, 그리고 ‘공천 협박’ 등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 의원 등은 지난 6일에 이어 9일 재소집된 새누리당 상임전국위원회가 정족수 부족으로 열리지 않도록 계속 물밑에서 저지 활동을 벌이고 있다. 9일도 4시간이 지나도록 위원들을 모으지 못해, 상임전국위는 또 무산될 가능성이 큰 상태다.
9일 새누리당 관계자들에 따르면, 서 의원은 상임전국위원 등에게 “차후 내가 알아서 당을 나갈 테니 조금만 기다려달라”는 말을 주로 하고 있다고 한다. ‘무조건 버티겠다, 나를 따르라’가 아니라, ‘대통령 탄핵 사태에 대해 내가 스스로 반성하고 알아서 거취를 정할 텐데, 이 나이에 굳이 외부에서 들어온 인명진 목사에게 모욕을 당하면서까지 끌려나가야 하느냐’는 논리로 감성에 호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서 의원은 “대통령이 저렇게 억울해 하는데 어떻게 될 지 아느냐”면서, 박근혜 대통령이 탄핵이 헌재에서 기각될 가능성도 거론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 의원의 부인 이선화씨까지 나서 눈물을 흘리며 전화와 면담 등을 통해 가세하고 있다고 한다. 이씨는 정치권에선 유명한 ‘마당발’로, 주로 여성 의원들이나 정치인 부인 등과 모임을 만들며 ‘관리’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최경환 의원도 서 의원과 함께 그동안 당 핵심으로서 총선이나 지방선거 때 공천 물밑 작업에 개입, 현직 의원들이나 핵심 당원 등에게 공천을 주거나, 경제부총리를 지내면서 당 관계자들을 여러 정부 산하기관에 낙하산으로 내려가도록 자리를 마련해줬던 인연 등을 집중 거론하며 ‘의리’를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사실상 ‘비대위는 한시적 조직일 뿐, 대통령 탄핵이 기각되는 등 당이 정상 궤도로 돌아오면 다시 공천으로 은혜를 갚을 수도, 아니면 보복할 수 있다’는 메시지인 셈이다.
윤상현, 조원진 의원 등 친박 그룹의 좀더 젊은 이들은 ‘행동대원’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 관계자는 “당에서 상임전국위원 누구누구에게 참석을 부탁해 확정하고 나면, 어떻게 알았는지 해당 인사에게 전화가 10~20통씩 걸려온다고 한다”며 이들의 역할을 전했다. 그럼에도 일부 위원이 상임전국위원회에 참석하려 할 경우, 회의장이 있는 국회 출입구 등에서 얼굴이 알려지지 않은 친박 의원들의 보좌진 등이 나서 입장을 가로막고 있다고 한다.
그동안 당내 선거 공천권이나 정부기관 인사권 등에서 막강한 영향을 끼쳤던 여당 주류 노장들의 이런 전방위적 설득 작업은, 의원 등이 ‘당이 쇄신하지 못하면 죽는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막상 이들에 반대해 행동에 나서는 데는 주저하게 만들고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