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30일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사건' 특별검사에 박영수(64) 전 서울고검장을 임명했다.

청와대 정연국 대변인은 "박 대통령은 본격적인 특검 수사가 시작되면 적극적으로 협조하고 특검의 직접 조사에도 응해서 사건 경위에 대해 설명할 예정"이라며 "특검 수사가 신속 철저하게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정 대변인은 또 "박 대통령은 특검 수사와 재판 과정에서 사건의 모든 진상이 밝혀지고 책임이 가려지길 희망한다"며 "대통령은 이번 일로 고생한 검찰 수사팀에 고맙다는 뜻을 밝혔다"고 전했다.

'최순실 특검'에 박영수 임명… 국정조사도 시작 - '최순실 게이트' 특별검사로 임명된 박영수 전 서울고검장이 30일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왼쪽). 국회의 국정조사도 이날 시작됐다. 국조특위 기관 보고에 앞서 조윤선 문화체육부 장관, 홍완선 국민연금 전 기금운용본부장, 문형표 국민연금공단 이사장이 증인 선서를 하고 있다(오른쪽부터).

[청와대 "개헌이든 아니든 국회 결정에 따르겠다"]

박영수 특별검사는 대검 중앙수사부장과 서울지검 2차장 등 검찰 요직을 거쳤다. 김대중 정부 시절 청와대 사정비서관을 지내기도 했다.

박 특검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오로지 사실만을 바라보고, 법과 원칙에 따라 수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주권자인 국민의 요구에 따른 대통령 본인과 국정 전반에 대한 수사이기 때문에 각오가 남다를 수밖에 없다"며 "수사 대상자의 지위고하나 정파적 이해관계를 고려하지 않고 국난 극복의 최전선에 서 있다는 굳건한 인식하에 성심을 다하겠다"고 했다.

그는 피의자로 수사하게 될 우병우 전 민정수석과 가깝지 않으냐는 질문에 대해 "수원지검에서 근무할 때 (우 전 수석이) 옆 부서에서 근무한 적이 있지만 전혀 영향이 없을 것"이라며 "수사로 말하겠다"고 했다. 박 대통령에 대한 강제수사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는 "예단을 갖고 수사하면 수사관답지 않은 것"이라며 "수사 진척 상황을 보면서 결정하겠다"고 했다.

박 특검은 앞으로 20일간 사무실 마련, 특검보(4명)와 파견검사(20명) 인선 등 수사 준비 작업을 진행한다. 본격적인 수사 개시는 12월 중순이 될 것으로 보인다. 수사 기간은 기본 70일에다 대통령의 승인을 받아 30일간 연장이 가능해 최장 100일이다. 검찰은 특검준비가 끝나는 대로 그간 수사한 내용을 넘기게 된다. 박 특검은 "검찰이 수사한 내용도 많고 하니까 (수사) 기록 검토를 철저히 하겠다"며 "(특검이 수사한다고 해서) 검찰 수사의 연속성이 무너지는 게 아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