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국정 농단'과 관련해 외신들이 박근혜 대통령의 정치적 책임을 강조했다.

‘청와대 비선실세’ 최순실이 국정을 농단한 '최순실 게이트'를 지켜보는 외신들이 일제히 박근혜 대통령이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한반도 및 동아시아 전문가인 스콧 나이더 미국외교협회(CFR) 선임 연구원은 24일(현지시간) 시사주간 뉴스위크 기고문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즉각 사임 여부와 관계없이 한국 정부의 마비 상태가 앞으로 몇달 동안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하며 “현재 박 대통령에게는 강한 퇴진 요구에도 불구하고 권력을 고수해야 할 충분한 동기가 있어서 스스로 물러날 가능성이 낮다”고 주장했다.

뉴욕타임스(NYT)는 사설에서 박 대통령이 신뢰회복을 바란다면 최순실의 비행을 모두 인정하고 모든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지적하면서 "박 대통령이 그저 사심이 없고, 진실하다는 국민의 과거 믿음을 일부라고 회복하고 싶다면 기존의 사과에서 더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한국의 스캔들이 재벌에 대한 압수수색으로 확대됐다"며 "이번 스캔들은 한국이 부진한 경제 성장과 수출 하락, 북한의 핵 위협과 씨름하고 있는 어려운 시기에 발생했다"고 전했다.

CNN방송은 청와대의 비아그라 구입 논란과 관련해 산악인들과 전문가들을 취재한 결과, 비아그라는 고산병을 피하려고 산악인들이 가끔 사용하기도 하지만 그 임상효과는 증명되지 않았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