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 성씨 비율.

국내에 거주하는 한국인 5명 중 1명이 김(金)씨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5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작년 11월 기준 총 인구 5107만 명 중 21.5%에 해당하는 1069만 명이 김(金)씨인 것으로 집계됐다.

우리나라 전체 성씨는 5582개였고 1000명 이상인 성씨는 153개였다. 김씨 다음으로 많은 성씨는 이(李)씨와 박(朴)씨로 각각 14.7%와 8.4%를 차지했다. 이어 최(崔·4.7%), 정(鄭·4.3%), 강(姜,2.4%), 조(趙·2.1%), 윤(尹·2.1%), 장(張·2%), 임(林·1.7%)씨가 10대 성씨에 포함됐다. 김·이·박씨를 합친 비율은 44.6%였다.

성씨와 본관은 2000년 이후 15년 만에 조사됐다. 10대 성씨가 차지하는 비율은 63.9%로 2000년(64.1%)에 비해 0.2%포인트 감소했다.

국내 성씨 중 한자가 있는 성씨는 1507개이고 없는 성씨는 4075개로 집계됐다. 한자가 없는 성씨는 ‘하질린’, ‘쓰룬’, ‘추옹’ 등 귀화한 외국인의 성씨가 대부분이다.

성씨는 두음법칙 예외가 인정돼 동일한 한자라도 柳(유·류)와 같이 구분해 표기된다.

10대 성씨본관.

성씨 본관은 3만6744개로 1000명 이상인 본관은 858개에 달했다. 같은 본관을 가진 사람이 1000명 이상인 사람은 4860만 8000명으로 인구의 97.8%를 차지했다.

본관별 인구를 보면 김해 김씨가 445만7000명(9%)으로 가장 많았고 밀양 박씨(6.2%), 전주 이씨(5.3%), 경주 김씨(3.6%), 경주 이씨(2.8%), 진주 강씨(1.9%), 경주 최씨(1.9%), 광산 김씨(1.9%), 파평 윤씨(1.6%), 청주 한씨(1.5%) 등이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