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루묵 설화 등장인물은 태조 이성계"라는 주장 나와

피란길에 오른 왕이 ‘묵어’를 맛보고 맛이 좋아 이름을 ‘은어(銀魚)’로 바꾸라고 명했다. 전쟁이 끝나고 이 생선을 다시 먹은 왕은 맛이 예전만 못하자 실망한 나머지 “도로 묵어라고 하라”고 했다. 영동 이북의 동해에서 주로 잡히는 ‘도루묵’의 이름에 대한 설화이다.

이야기 속 왕은 과연 누구일까. 많은 사람들이‘도루묵 일화’의 주인공을 조선시대 임진왜란을 겪은 선조나 병자호란 때의 인조로 알고 있다. 30일 학계에 따르면, 김양섭 전북대 무형문화연구소 전임연구원은 도루묵 설화의 주인공이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라고 주장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김 연구원은 국립민속박물관이 발행한 '민속학연구' 제38호의 '임연수어·도루묵·명태의 한자 표기와 설화에 대한 논증' 논문에서 "이성계가 도루묵 설화의 주인공이라는 정황 증거가 여럿 있다"고 했다.

우선 제11대 왕인 중종 때 이미 도루묵이 은어로 기록된 서적이 편찬됐다. 제14대 임금인 선조와 제16대 왕인 인조가 도루묵을 은어로 개명했다는 것은 시간상 맞지 않는 것이다.

김 연구원은 최초의 도루묵 설화 기록이 허균이 1611년 유배지에서 쓴 '도문대작'에 있고, 다음으로 이식이 강원도 간성군수로 좌천됐을 때 지은 '환목어(還目魚, 도루묵의 한자 표현)’라는 시에 있다고 했다. 이어 조선 후기의 문신 이의봉과 조재삼이 각각 고려 왕과 인조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도루묵 설화를 글로 남겼다.

김 연구원은 이들 기록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나서 "허균의 글을 제외하면 나머지는 도루묵의 생태적 특성과 역사적 사실을 살피지 않았다"며 "고려 왕이나 선조, 인조는 도루묵 설화의 주인공이 될 수 없다"고 밝혔다.

반면 태조에 대해선 "태조는 1398년 정종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함흥으로 갔다가 1401년 한성으로 돌아온 적이 있다"면서 "함흥은 도루묵이 많이 나고, 함경도 안에서 유일하게 도루묵을 은어라고 불렀다"고 말했다.

김 연구원은 허균의 기록에 대해 "허균은 도문대작에서 설화를 언급하며 '전 왕조에 있었던 왕(前朝有王)’이라고 했는데, 조선을 만든 태조라는 묘호(廟號)를 감히 거명할 수 없어 다른 표현을 쓴 것 같다"며 "결론적으로 도루묵 설화의 실제 주인공은 태조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김 연구원은 '말짱 도루묵'이라는 말에 대해서도 "조선 후기 실학자 이긍익이 높은 관직에 올랐다가 삭탈관직당해 낙향한 허목을 '도루묵'에 비유했다"며 "17세기에 이미 널리 쓰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