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정보] 대우조선해양, 급여 20% 삭감하고 1개월 무급휴가 추진]

대우조선해양이 내달 13일 주총에서 조대환 변호사(법무법인 대오)를 사외이사로 선임하려 했다가 여론 비판이 거세지자 지명자인 조 변호사가 30일 스스로 사퇴했다. 조 변호사는 박근혜 대통령 선거 캠프에 몸담고 인수위 자문위원을 지냈으며 새누리당 추천으로 세월호 특위 부위원장을 맡아 7개월간 활동했다. 회사 측은 "법률 전문가를 보강하려던 것"이라고 했지만 조 변호사는 형사·특수부 검사 출신이다. 조선업에는 완전 문외한이라 전형적인 정치권발(發) 낙하산 인사로 볼 수밖에 없다.

7조원을 쏟아부었는데도 대우조선이 망가진 데는 낙하산 인사를 자행한 역대 정권 책임이 크다. 정부는 지난 16년간 대우조선 대주주 노릇을 하며 민영화는 미룬 채 비(非)전문가들을 내려보내 회사를 엉망으로 만들었다. 2000년 이후 대우조선 사외이사로 선임된 30명 중 18명(60%)이 정치권 인사나 관료였다. 이걸로도 모자라 퇴직 관료와 국정원 간부, 예비역 장성 60명을 고문·자문역·상담역으로 앉히고 1억원 안팎 연봉까지 줬다.

현 정부 들어서도 대우조선에서 선임된 사외이사 7명 중 5명이 정치권 낙하산이었다. 그러고도 또다시 대선 캠프 출신 비전문가를 보내려 했다니 과연 제정신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박근혜 대통령은 열흘 전 여야 대표 회동에서 "낙하산 인사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했다. 박 대통령은 이번 사례도 낙하산 인사가 아니라고 우길지 모른다. 대통령이 현실을 아예 모르거나 완전히 거꾸로 알고 있다는 말이다. 이러니 해결책이 나올 턱이 없다. 정권이 멍들 대로 멍든 회사에까지 제 사람을 쑤셔 넣는 습성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데 혈세 수조원을 쏟아넣은들 무슨 수로 회사가 회생하겠는가.

[[사설] '스타 검사 홍만표' 추락, 검찰 생태계 그만큼 부패했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