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도 보스턴처럼 온 시민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마라톤 축제가 있어야 합니다. 이번 마라톤이 그 역할을 해야지요."
1950년 미국 보스턴 마라톤의 영웅 함기용(86·대한육상경기연맹 고문) 선생은 '통일과 나눔 서울하프마라톤'을 앞두고 새로운 마라톤에 대한 기대를 전했다. 함 선생은 1948년 대한민국 건국 이후 태극기를 달고 국제 대회에서 우승한 첫 한국인이다.
그는 24일 '통일과 나눔 서울하프마라톤'의 시상자로 나선다. 서울 여의도공원에서 열리는 10㎞ 코스 시상식에 참석해 우수한 기록을 낸 남녀 12명에게 트로피와 상장을 전달할 예정이다.
함 선생은 시상을 맡으며 중학생 때인 1947년 '제1회 손기정 세계 제패 기념 조선일보 마라톤 대회'에 출전해 5등을 차지한 기억을 떠올렸다고 했다. 함 선생의 고향은 춘천인데 서울에서 포장도로를 달리던 느낌이 각별했다고 한다. 당시 대회는 서울 태평로~서울역~노량진~오류동을 왕복하는 코스에서 열렸다. 함기용 선생은 "당시는 8월이라 비가 많이 내렸다"면서도 "한강을 건너고 서울 시내 곳곳을 달리는 게 참 행복했다"고 회고했다.
이번 서울하프마라톤 대회에서도 시민들은 서울 시내를 달리고 한강 다리를 건너는 경험을 하게 된다. 함 선생은 "이번 마라톤 참가자들도 이런 마라톤의 행복을 충분히 느끼면 좋겠다"고 했다.
1950년 당시 한국 마라톤의 보스턴 제패는 세계적인 사건이었다. 동양에서 온 신생 독립국의 마라토너들이 세계 최고 권위의 대회에서 1~3등을 석권한 것이다. 2등과 3등은 고(故) 송길윤 선생과 최윤칠 선생이었다. 당시 감독이 1936년 베를린올림픽 금메달리스트인 고(故) 손기정 선생이었다.
20세였던 함 선생은 보스턴에서 2시간32분39초의 기록으로 우승했다. 미 언론은 함 선생이 막판에 걷다 뛰다 하면서도 우승했다며 그를 '워킹 챔피언'이라고 불렀다.
"막판에 혼자 달리는데, 보스턴 시민들이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나와서 함성을 질렀어요. 알지도 못하는 작은 나라의 선수들을 그렇게 응원했던 거죠. 마라톤을 축제로 즐기는 모습이 너무나 부러웠습니다."
함 선생에게 통일은 특별하다. 그는 보스턴 마라톤 우승 직후 인터뷰에서 "지금 한반도는 남북이 갈라져 있어 이북 동포들은 내가 이렇게 우승한 사실도 모른다. 이 기쁨을 함께 나누고 싶은데 참 가슴이 아프다"고 했다.
함 선생은 "마라톤이 당장 남북통일을 이루게 할 수는 없겠지만, 마라톤을 통해 시민들이 통일에 대한 희망을 함께 공유하면 좋겠다"며 "이번 서울하프마라톤이 바로 그런 자리라고 생각해 선뜻 시상 제의를 받아들였다"고 말했다.
함 선생의 선수 생활은 짧았다. 보스턴 마라톤 두 달 뒤 터진 6·25전쟁 때문이었다. 보스턴 마라톤 메달도 전쟁 통에 잃었다. 지금 그가 갖고 있는 메달은 나중에 보스턴 측에서 새로 제작해 건넨 것이다.
함 선생은 1985년 은행 지점장으로 퇴직한 뒤 20여년간 대한육상경기연맹 임원으로 마라톤 발전을 위해 노력했다.
협찬: KB금융그룹, IBK기업은행
어패럴 협찬: FI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