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로 인근 대여업체에서 한복을 하루 빌린 10~20대 여성들이다. 남자 친구와 함께 한복을 빌려입고 데이트에 나선 전수지(22)씨는 "한복은 색깔이 화려해 사진이 잘 나온다"며 "지나가는 사람들이 다들 돌아보니 연예인이 된 기분"이라고 했다. 친구 네 명과 같이 한복을 빌려입고 인사동을 걷던 이정화(26)씨는 "주말에 한복 나들이를 자주 나온다"며 "일본에선 유카타 입는 것이 자연스러운데 우리라고 못 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불편하고 고리타분한 옷으로 인식됐던 한복이 패션이자 놀이로 젊은 세대를 파고들었다. 작년부터 시작된 유행이 해를 넘겨서도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자유분방하게 자기 표현을 즐기는 젊은 세대가 전통 문화를 새롭게 해석하면서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것이다.

주말 오후 빛깔 고운 한복 차림으로 서울 인사동을 거니는 젊은이들. 명절이나 결혼식 때 입는 어렵고 불편한 옷으로 여겨지던 한복이 젊은이들 일상 속 패션 아이템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인터넷 쇼핑몰 옥션의 여성 한복 판매량은 2014년부터 증가세로 돌아섰다. 특히 20대에서 2014년 30%, 2015년 21%로 가장 많이 늘었다. 설 명절이 있는 1월보다 나들이철인 5월에 판매량이 두 배 이상 많았다. 남성 한복도 2014년까지 줄어들다가 지난해 전년 대비 78%로 크게 늘었다.

사진 전문 SNS 인스타그램에서 '한복'을 검색하면 36만건이 주르륵 뜬다. '한복스타그램' '한복스냅' '한복체험' 등의 검색 결과도 수만건씩 된다. 유튜브에선 '연예인 같은 한복 화장법'을 알려주는 동영상 조회수가 22만건을 넘었다. 무릎 길이 치마, 면 소재 등 디자인을 다양화한 생활한복 온라인 쇼핑몰도 지난 1년 새 급증했다. 서울의 한 한복 대여점 대표는 "외국인 관광객을 타깃으로 대여점을 차렸는데 내국인 손님이 훨씬 많아 깜짝 놀랐다"고 했다.

전주 한옥마을의 경우 사회적기업을 운영하는 박세상(31)씨가 2012년부터 '한복데이' 축제를 열면서 유행을 일으켰다. 현재 한옥마을 내 대여점은 60여곳에 이른다. 2011년 창설된 '한복놀이단'은 한복을 입고 참여하는 파티나 플래시몹 등 다양한 이벤트를 연다. 한복놀이단 권미루(36) 단장은 '한복여행가'로도 알려져 있다. 이탈리아, 스페인, 네팔 등 외국 여행을 다니면서 SNS에 찍어 올린 한복 사진이 화제가 돼 여러 차례 전시회도 열었다. 권씨는 "젊은이들에게 한복이 '입어야 하는 옷'에서 '입고 싶은 옷'으로 바뀌고 있다"고 했다.

젊은이들 사이 한복 열풍은 개량한복이 큰 인기를 끌었던 1990년대를 떠오르게 한다. 당시 정부가 한복 입기 운동을 펼치면서 공무원들이 토요일마다 개량한복을 입고 출근했다. IMF를 계기로 '우리 것을 지켜야 한다'는 각성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 덕분에 1990년대 말 생활한복 브랜드가 2000여개에 이를 정도로 번성했으나, 저렴하고 질 나쁜 중국산 제품이 쏟아지면서 '싸구려' 이미지로 전락하고 말았다.

국내 최대 규모 생활한복 업체 '돌실나이' 김남희 대표는 "한복 매장에 발길도 하지 않던 젊은이들이 요즘은 '와, 한복이다!' 외치면서 들어설 정도로 인식이 달라졌다"고 했다. 21년간 생활한복을 만들어온 돌실나이는 3년 전 젊은이를 타깃으로 삼은 생활한복 브랜드를 새로 출범시켰다. 3년 만에 매출이 2.5배 늘었고 올해는 작년 대비 3배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사진 왼쪽)네팔 히말라야 안나푸르나에서 권미루씨가 한복 차림으로 외국 여행객들과 함께 찍은 사진. (사진 오른쪽)말레이시아에서 온 관광객이 한복 체험 학습 나온 중학생들과 경복궁에서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젊은이들은 왜 한복에 열광할까. 생활한복 디자이너 이향씨는 "일본에선 오래전부터 전통 의상 기모노를 편안한 소재와 다양한 디자인으로 풀어낸 유카타가 젊은이들 사이에 자리 잡았다"며 "이런 흐름이 국내로 넘어온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세계한류학회 회장인 박길성 고려대 대학원장은 "젊은 세대는 기성 세대와 달리 모든 개념으로부터 자유롭다"며 "기성 세대는 젊은이들이 애국심이나 민족주의 때문에 한복을 입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는 지나친 해석"이라고 했다. 유홍준 명지대 석좌교수는 "젊은이들이 개인적·민족적 정체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현상"이라면서 "기성 세대가 개입하거나 국가에 의해 강요된 행위가 아니라 청년들이 자발적으로 만들어낸 움직임이기 때문에 우리 문화가 한결 성숙해졌다는 것을 증명해준다"고 했다.

아시안게임 축구 응원

[[키워드 정보] SNS 타고 퍼지는 한복 열풍]

문화체육관광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산하 최정철 한복진흥센터장은 "한류 붐을 타고 해외에서 우리 문화의 위상이 높아지자 젊은이들에게 우리 전통문화가 자랑할 만하고 따라 해보고 싶은 대상이 됐다. 일시적 유행에 그치지 않도록 콘텐츠 개발이 과제"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