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에 대한 걱정으로 강박장애를 겪는 환자 중 20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박장애란 불안장애의 일종으로, 환자가 원하지 않는 강박적인 행동을 반복적으로 하는 증상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강박장애 환자가 지난 2010년 2만490명에서 지난 2014년 2만3174명으로 13% 증가했다고 9일 밝혔다. 연평균 3.1% 증가한 셈이다. 같은 기간 관련 진료비는 110억원에서 131억원으로 연평균 4.1% 늘었다.
2014년 기준으로 20대 강박장애 환자가 가장 많았다. 인구 10만명 당 강박장애 환자 수는 20대가 86.3명이었고, 30대(61.8명), 40대(43.4명), 70대(35.9명)가 뒤를 이었다.
성별로는 남성이 1만3395명으로 전체 환자의 57.8%를 차지했다. 20대 남성 환자가 10만명당 106.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30대(69.9명), 10대(61.2명) 순이었다.
여성 환자는 9779명으로 남성 환자보다 적었지만 연평균 증가율은 여성(3.4%)이 남성(2.9%)보다 높았다. 여성 환자는 연령대별로 10만명당 20대가 64.1명, 30대(53.3명), 40대(41.1명)이었다.
강박장애는 원하지 않는 생각이 반복적으로 나는 강박적 사고와 이로 인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한 강박적 행동으로 나뉜다. 손 자주 씻기, 숫자 세기, 대칭 맞추기 등이 강박적 행동에 속한다.
이선구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교수(정신건강의학과)는 “강박장애는 전형적으로 10대~20대에 많이 발병한다”며 “취업 등 미래에 대한 불안감, 직장 생활 및 가정 생활의 어려움 등이 스트레스로 작용하는 것도 영향이 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대부분의 강박장애 환자가 일상생활에 방해가 될 정도로 증상이 심해진 후에 병원을 찾는다"고 덧붙였다. 강박장애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 등으로 치료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