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발(發) 충격으로 세계 증시의 시가 총액이 새해 첫 일주일 사이 4조1963억달러(6.5%) 감소했다고 블룸버그가 집계했다. 우리 돈으로 환산하면 5033조원이 증발한 것이다. 중국이 연(軟)착륙에 실패할지 모른다는 '중국 리스크'가 현실감을 더하면서 앞으로도 세계 금융은 더 요동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인 한국 경제는 직접적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지난주 중국발 주가 폭락은 중국 정부가 위안화 가치를 나흘 새 1.7%나 하락시킨 데서 촉발됐다. 위안화 절하를 통한 경기 부양 카드를 쓴 것이지만 중국 정부 의도와는 정반대 효과를 냈다. 위안화 절하를 우려한 글로벌 자금이 중국을 이탈하는 바람에 위안화 절하→자본 유출→유동성 위축→경기 하락으로 이어지는 악순환을 스스로 초래한 것이다.

중국이 시장 패닉을 막으려 도입한 '서킷브레이커'(주가 급등락 시 거래 일시 중단) 제도도 주가 폭락을 가속화했다. 거래 중단의 기준을 너무 좁게 설정하는 바람에 도리어 투매(投賣) 심리를 자극하는 역효과를 낸 것이다. 이로 인해 증시가 조기 폐장하는 사태가 두 번이나 벌어지자 견디다 못한 중국 당국은 서킷브레이커 제도를 중단시켰다. 시장을 안정시켜야 할 중국 정부가 도리어 시장 교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지금 중국의 상황은 통제형 관치(官治) 경제 모델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정부가 시장 친화적 정책으로 전환하지 않고 지금처럼 설익은 관 주도 정책으로 시장을 '제압'하려 한다면 중국발 위기는 확산될 수밖에 없다. 한국 정부와 금융·기업계는 중국 정부가 위기관리에 실패하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해 대응 시나리오를 짜놓아야 한다.

[[사설] 서로 책임 미루는 美·中, '독자적 自衛' 결단 모색해야 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