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는 작년부터 중국으로 돌려보낸 6·25전쟁 당시 중국군 전사자 유해 500여구 중 최대 수십여구가 북한군 유해이거나 유골 일부가 유실된 채 송환됐을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20일 알려졌다. 국방부는 지금까지 송환된 중국군 유해에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었다.

정부 관계자는 "군 자체 조사 결과 북한군·중국군 묘지를 재단장하는 과정에서, 또 송환을 위해 묘지에서 중국군 유해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견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에 따라 지난 16일 한민구 국방장관 주재로 대책 회의를 열었으며, 군 차원의 감사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군 유해 송환은 2013년 6월 중국을 방문한 박근혜 대통령이 정전 60주년을 기념해 제안, 작년 3월부터 이뤄진 것으로 감사 결과에 따라 외교적 논란이 일 가능성도 있다. 중국군 유해는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에 있는 '북한군·중국군 묘지'(일명 적군묘지)에 북한군 유해와 함께 안장돼 있었다. 군 당국은 묘역을 따로 구분하지 않고 발굴 순서대로 중국군과 북한군 유해를 한 곳에 묻어왔다.

한·중은 2013년 12월 한국 땅에 묻힌 중국군 유해 송환에 합의했고, 이후 군 당국은 적군묘지에서 중국군 묘만 골라 수습했다. 그런데 비석만 있고 유해가 없는 경우가 꽤 있었다고 한다. 군 당국은 2012년 12월 나무 묘비를 대리석으로 바꾸고 화장실과 진입로를 새로 단장하는 공사를 하면서 묘비 위치가 흐트러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군은 묘비 근처에서 유해를 발굴해 이를 원본 기록과 대조하는 작업을 했는데 이 과정에서 착오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적군묘지에서 중국군 유골을 수습하는 임무는 국방부 내 전문 부대인 유해발굴감식단이 아니라 파주의 육군 25사단이 맡았다. 작업은 겨울에 이뤄졌는데 언 땅을 파느라 포클레인 등 중장비와 곡괭이가 사용됐다고 한다. 묘비 위치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상황에서 작업을 하다 보니 유골이 담긴 일부 항아리가 파손된 것으로 알려졌다. 유골 분류 작업도 비전문가인 일반 장병들이 다수 참여했다고 한다. 정부 관계자는 "송환이 2013년 12월 결정됐는데 송환 날짜가 이듬해 3월로 잡히면서 작업을 서둘렀던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