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의 ‘비선 라인’ 실세로 알려진 정윤회씨가 박근혜 대통령의 핵심 측근인 청와대 ‘문고리 권력’ 3인방과 만나 청와대 비서실장 인사 등에 개입했다는 취지의 청와대 내부 문건이 나왔다고 세계일보가 28일 보도했다.
세계일보는 이날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실 산하 공직기강비서관실 명의의 '靑비서실장 교체설 등 관련 VIP 측근(정윤회) 동향'이라는 감찰 문건의 내용을 사진과 함께 게재했다.
지난 1월 6일 작성된 이 문건은 당시 여의도 정치권과 증권가 ‘찌라시’(정보지)에 떠돌던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 중병설’ ‘김 실장 교체설’ 등의 루머가 어디서 비롯됐는지 감찰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됐다고 신문은 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 문건에는 정씨가 ‘비선 실세’로 불리는 대통령 핵심측근 3인방을 비롯한 청와대 내부 인사 6명, 정치권에서 활동하는 청와대 외부 인사 4명과 매달 두 차례 정도 서울 강남의 중식당과 일식집 등에서 만나 청와대 내부와 현 정부 동향 등에 대해 논의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보고서는 또 핵심 측근 3명의 이름을 실명으로 언급하고 있으며, 정윤회씨와 만난 청와대 인사들을 묶어 중국 후한 말 환관에 빗대 ‘십상시’로 지칭하기도 했다.
특히 정씨는 지난해 이들과의 송년 모임에서 김 실장의 사퇴 시점을 “2014년 초·중순으로 잡고 있다”면서 참석자들에게 정보지 관계자들을 만나 사퇴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정보를 유포하도록 지시했다고 보고서는 쓰고 있다.
세계일보는 이 감찰보고서가 조응천 당시 공직기강비서관의 지시로 경찰 출신 A 경정에 의해 작성됐고, 이후 김 실장에게도 보고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보고서가 제출된 지 한 달 만에 A 경정은 원대로 복귀하고, 조 비서관은 그로부터 두달 뒤 사표를 제출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공식 브리핑에서 "오늘 세계일보에 난 청와대 관련 보도내용은 사실이 아니다"며 "청와대는 오늘 안에 고소장을 제출하는 등 강력한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민 대변인은 "보도에 나온 내용은 시중의 근거 없는 풍설을 모은 이른바 찌라시에 불과한 걸로 판단하고 당시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편, 야당은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비선실세 국정농단 진상조사단’을 구성해 보도 내용을 정치 쟁점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수 대변인은 “이재만 청와대 총무비서관을 비롯, 이른바 ‘십상시’로 불리는 사람들과 문건 작성에 관여한 사람들이 운영위에 출석해야 한다”며 “당 차원에서 이 문제에 당력을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