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쯤 되면 글씨가 아니라 그림이다. 문자 네 자가 빚어내는 조형미에 넋을 놓는다. '계산무진(谿山無盡·계산은 끝이 없구나)'. 시내 계(谿)자는 골짜기의 물이 쏟아져 내리는 듯하고, 뫼 산(山)자는 위로 올려붙여 여백을 확보했다. 게다가 무진(無盡)을 2줄로 써서 연결한 파격적 배치라니! 추사(秋史) 김정희(1786~1856)가 안동 세도가 김수근에게 써준 것으로 추사체의 완성도가 절정에 이른 68세 무렵에 쓴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관장 전영우)이 제87회 가을 정기전 '추사정화(秋史精華)'를 12일부터 26일까지 2주간 연다. 올 3월부터 반년 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첫 외부 전시를 여느라 봄 정기전을 건너뛰었다. 이번 전시는 19세기 동아시아 최고의 지식인으로 꼽히는 추사의 서예 작품을 중심으로 그림까지 곁들여 44점을 선보인다. 최완수 간송미술관 한국민족미술연구소장은 "추사체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전시"라며 "추사가 30대부터 타계할 때까지 쓰고 그린 시기별 대표작을 엄선했다"고 했다.

①추사체의 완성을 보여주는‘계산무진’. 유난히 작은 왼쪽 인장은 큰 글씨의 웅혼장쾌(雄渾壯快)한 기상을 해치지 않으려는 의도된 낙관법인 듯하다. ②‘염화취실(斂華就實)’이란 화제가 붙은 그림. 곱게 노을지는 낙조처럼 고즈넉한 자태로 꽃과 잎을 쳤다.

이미 6~7세 때 천재성을 인정받은 추사지만 우리가 아는 '추사체'는 그의 말년에 완성됐다. 중국 고대 상형문자부터 전한과 후한·위진을 비롯해 당·송·원·명·청나라에 이르기까지 수천년 이어져 온 중국 서법(書法)을 모두 섭렵한 뒤 우리 전통까지 융합해 이뤄낸 것이 바로 추사체. 최 소장은 "추사는 옛것을 익혀서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천재"라며 "옛 법을 벗어나지 않았지만 하나도 옛것과 같지 않은 서체가 추사체"라고 평했다.

추사가 스승인 청나라 옹방강(翁方綱·1733~1818)의 서체를 받아들여 37세 때 쓴 행서대련 '직성수구(直聲秀句)'를 비롯해 50세 때 대표작 '명선(茗禪)', 추사체의 완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계산무진' 등이 나왔다. 30대의 추사가 옹방강의 영향을 받아 중후한 맛을 보인다면 중국 서도사(書道史)를 익힌 50대에는 칼날같이 날카로운 맛이 두드러진다. 추사체는 추사가 50대 중반인 1840년부터 8년간 제주도 유배라는 고단한 시기를 보낸 뒤에야 완성된다.

추사가 즐겨 그렸으면서도 가장 어렵게 생각했던 난초 그림도 선보인다. 추사의 '난맹첩'에 실린 그림 '염화취실(斂華就實·꽃이 지면 열매 맺는다)'에 눈길이 간다. 곱게 노을지는 낙조처럼 고즈넉한 자태로 꽃과 잎을 쳤다. 이번 전시는 관람객의 안전과 편의를 위해 하루 500명씩 예약제로 운영한다. 봄·가을 전시 때마다 보화각 입구부터 바깥까지 길게 줄을 서는 진풍경은 올해는 보기 어렵게 됐다. 무료. 전화 예약 070-7774-2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