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교육청의 적정규모학교 육성정책에 따라 화성과 오산지역 6개 초등학교가 폐교될 위기에 놓였다.
폐교대상에 포함된 학교와 지역주민들은 원거리 등교의 불편, 혁신·창의지성 교육 시범학교는 제외한 형평성 문제 등을 놓고 반발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화성오산교육지원청은 학생수가 적어 정상 수업이 불가능한 초등학교(60명 이하)를 인근 학교와 통합 운영한다고 21일 밝혔다.
적정규모가 안된 학교에선 컴퓨터, 영어 등 교과 전담교사를 배치할 수 없다. 2∼3개 학년이 함께 공부하는 복식수업을 진행, 수업의 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게 교육지원청의 설명이다. 교육지원청은 학생수가 읍·면지역은 60명이상, 동지역 200명이상 적정 규모가 돼야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교육지원청은 2018년까지 주민설명회와 설문조사, 2차에 걸친 여론조사(학부모 대상) 등을 실시해 초등학교 폐교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화성과 오산지역 학생 60명이하 초등학교 14곳 가운데 향남읍 갈천초(학생수 48명), 송산면 고정초(41명), 마산초(46명), 비봉면 청룡초(47명), 팔탄면 팔탄초 대방분교(30명), 오산 외삼미동 매홀초 삼분교(39명) 등 6곳이 우선 폐교 대상에 포함됐다.
나머지 8곳은 읍·면지역에 학교가 1곳이거나 혁신교육, 창의지성교육 시범학교라는 점이 고려돼 제외됐다.
학부모와 지역 주민, 폐교대상 학교의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다.
학부모와 지역주민은 학생의 원거리 등교에 따른 통학불편과 폐교에 따른 지역인구 감소 등을 이유로 반대하고 있다.
폐교대상 학교는 2015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혁신교육과 창의지성교육 시범학교는 제외시키고 나머지 학교만 폐교하겠다는 것은 형평성에 맞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교육지원청 관계자는 "학생수가 적정 규모가 안되면 학업성취도 떨어지고 교육환경 여건도 열악해진다"며 "초등학교 통합운영은 학부모와 지역주민 등의 여론을 우선적으로 수렴해 추진할 계획"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