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국가 음역을 3도 낮춰 학생들이 부르기 쉽게 하겠다는 서울시교육청의 발표가 최근 논란을 빚었다. 우선 음역을 현재대로 유지해 작곡자가 의도한 대로 힘차게 불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민감한 이슈마다 이념논쟁으로 수렴되는 현상도 재연됐다. 음정을 낮춰 애국가를 침울하게 만들려는 의도 아니냐는 의심이었다. 진보 성향의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이 임의로 애국가를 '개조'하려 한다는 비난도 같은 맥락이다. 그러나 '낮은 애국가'는 조 교육감이 시작한 정책이 아니다.
애국가는 여러 차례 논란의 중심에 있었다. 올 초 KBS 신입사원 최종면접에서 나온 '애국가 4절을 부를 수 있느냐' 등 몇몇 질문에 대해 일각에선 "사상 검증"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했다.
통합진보당 이석기 의원은 "애국가는 국가(國歌)가 아니다"라는 발언으로 파문을 일으켰다. 애국가는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행사 때부터 사용돼왔다. 애국가를 국가라고 명시한 법은 없지만 이는 (애국가가 국가라는 사실이) 너무나 당연하기 때문이라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통진당은 지난해 지도부 출범식에서도 '임을 위한 행진곡' 등을 제창했지만 애국가는 부르지 않았다.
애국가를 작곡한 안익태의 친일 행적을 둘러싼 논란도 있다. 정부는 2005년 안익태를 독립유공자로 선정하려 했다. 그러나 이듬해 안익태가 일제 괴뢰정부인 만주국 창립을 기념하는 작품을 작곡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 등이 공개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인물' 명단에는 안익태가 포함돼 있다.
저작권 논란도 있었다. 2005년 당시 문화관광부는 애국가 저작권을 안익태 선생 유족으로부터 구입해달라고 행정자치부에 요청했다. 이 과정에서 유족들이 10여년간 저작권료를 받았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애국가를 돈 내고 불러야 하느냐는 반응이 나왔다. 이 문제는 유족들이 저작권을 한국에 조건 없이 기증하겠다고 밝히며 해결됐다.
우리 국민은 애국가 가사를 정확히 알고 있을까. 초등학생100명에게 애국가 가사를 적어 보게 했다. 1절 이상 적어 낸 학생이 36명 뿐이었고, 4절까지 적은 학생은 아무도 없었다. 맞춤법이 조금 틀린 것은 정답 처리했는데도 그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