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와 통일문화연구원이 중국 단둥(丹東)과 옌지(延吉) 등에서 지난 1~5월 심층 인터뷰한 북한 주민 100명 가운데 76명은 가장 가까운 나라로 중국을 꼽았다. '남한'을 꼽은 북한 주민은 19명에 그쳤다.
'중국'을 가장 가까운 나라로 꼽은 북한 주민들은 "조선에선 다 중국을 '형제'라고 여긴다"면서 "같은 사회주의 국가로, 오랫동안 가까운 이웃으로 지냈다. 조국해방전쟁(6·25 전쟁)도 함께 치렀고, 지금도 여전히 도움을 많이 받는다"고 말했다.
'남한'을 꼽은 주민들은 "그래도 내 핏줄인데 남한이 가장 가깝게 느껴진다" "중국은 말이 통하지 않으니까 북과 남이 통일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 유럽을 꼽은 주민이 2명, 미국·러시아·일본이 각각 1명씩이었다.
'중국이 북한에 어떤 대상이라고 생각하는가'란 질문에는 '형제'(60명)나 '친구'(37명)라는 답변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경쟁자'(2명)나 '적'(敵·1명)이란 답변은 극소수였다.
북한 주민들이 중국을 '형제'나 '친구'로 여기는 것은 사회주의라는 체제 동일성 외에도 핵개발에 따른 국제적 고립으로 경제난이 지속되면서 중국에 대한 의존이 갈수록 심화됐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한 북한 주민은 "중국 없으면 우린 다 굶어 죽고 얼어 죽는다"면서 "입는 거, 먹는 거 다 중국에서 갖다 먹는다"고 말했다.
40대 북한 여성은 "(북한) 장마당에서 거래되는 물품 대부분이 중국산(産)"이라면서 "중국이 도와주지 않으면 당장 조선 사람들 먹고살 수나 있겠는가"라고 했다. 중국 방문이 3번째라고 밝힌 한 북한 남성은 "'고난의 행군' 때 (김정일) 장군님 배려로 '중국에 친척 있으면 도움받아 살라' 해서 이제껏 중국에서 짐도 나르고, 일감이 있는 데면 어디든 가서 벌어먹고 산다"고 말했다.
북한 주민 100명 중 62명은 중국이 남북통일을 원할 것이라고 답했다. '매우 원한다'는 답변이 37명, '원하는 편이다'란 답변이 25명이었다. 30대 북한 여성은 "중국도 (조선과 같은) 사회주의 나라고, 한국은 자본주의지만 이젠 중국과도 가깝지 않은가"라며 "중국도 (남북이) 다 잘 살길 바라서 통일을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이 남북통일을 '전혀 원하지 않는다'(16명)거나 '원하지 않는 편이다'(19명)란 응답도 적지 않았다. 50대 북한 남성은 "통일만 되면 경제 활성화가 이뤄져 중국보다 빨리 발전할 것이기 때문에 중국이 통일을 바라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북한 남성은 "중국이 자꾸 북조선을 감싸고 도는 게 통일을 지연시키는 것 같다"며 "지금 북조선 자원을 중국이 다 갖다 쓰고 저희 마음대로 하는데 통일되면 그런 걸 못하게 되기 때문에 중국이 원치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