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 급증 등으로 환자들의 의료용 방사선 피폭량이 증가하면서 정부가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22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의료용 방사선 피폭을 줄여 나가기 위해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국민 개인별 맞춤형 방사선 안전관리'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우선 피폭량이 가장 많은 CT에 대해 다음 달부터 전국 1500여개 병원에 환자의 방사선 피폭량을 기록·관리하는 전산 프로그램을 깔 계획이다.
국제방사선방호위의 권고 기준은 연간 1mSv(밀리시버트·인체에 흡수된 방사선의 위험 정도를 표시하는 단위) 이하인데, CT를 한 번 촬영하면 5~15mSv의 방사선에 노출된다.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김형수 방사선안전과장은 "프로그램이 깔리면 의사가 CT 검사를 결정하기 전에 환자의 누적 피폭량을 확인하고, 단기간에 너무 많은 방사선에 노출된 환자에 대해서는 다른 검사로 대체할 수 있다"고 말했다.
CT나 엑스레이 같은 의료 장비에서 나오는 방사선은 우리 몸에 쌓이는 것이 아니라 통과해 지나갈 뿐이지만, 피폭 강도가 크고 횟수가 잦으면 유전자가 손상되거나 변이를 일으켜 나중에 암 발생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식약처는 "2015년부터는 일반 엑스레이와 치과 엑스레이까지 방사선 안전 관리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환자의 누적 피폭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환자 방사선 안전관리법'(가칭) 제정도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식약처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연간 의료용 방사선 검사 건수는 2007년 1억6000만 건에서 2011년 2억2000만 건으로 5년 사이 약 35% 증가했다. 1인당 연간 진단용 방사선 피폭량도 2007년 0.93mSv에서 2011년 1.4mSv로 50% 이상 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