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중산층은 정부와 여당에 대해 비판적 성향이 강하며, 다른 계층보다 상대적으로 무당파(無黨派)도 많다. 그런 만큼 정부의 정책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우가 많다는 분석이다.
한국갤럽이 지난 5~7월 1만518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새누리당 지지율은 소득 상위층(중상층 포함)이 44%, 하위층이 42%였지만 중간층(중하층 포함)은 37%에 그쳤다. 민주당 지지율은 상위층과 중간층, 하위층이 각각 20%, 20%, 16%였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어느 쪽도 지지하지 않는 무당파 비율은 중간층이 37%로 상위층(32%)보다 높았다.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국정 지지도 또한 중간층이 가장 낮았다. 상위층은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58%였고, 하위층은 62%였다. 그러나 중간층은 54% 수준에 그쳤다. 상·하위층에 비해 평균 4~8%포인트 낮은 것이다.
지난 대선 당시 여론조사에서 소득 중간층의 박근혜 후보 지지율은 48%대로 하위층(60%)보다 크게 낮았다. 19대 총선 비례대표 정당 투표에서 새누리당에 대한 지지율은 상위층이 48%, 하위층이 42%였지만 중간층은 40%대에 그쳤다. 정부와 여당이 국정 운영에서 미숙함이나 잘못을 보일 경우 언제든 정치적 반대자로 돌아설 가능성이 큰 것이다.
우리나라 중산층이 정부·여당에 상대적 비판 성향을 갖게 된 것은 2000년대 후반 들어서인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집값과 경제성장률 하락 등으로 계층 상승 욕구가 좌절되면서 정부·여당에 대한 불만이 누적됐다는 것이다. 한국갤럽 장덕형 부장은 "우리나라 중산층은 전통적으로 연령대가 30~50대로 사안 성격에 따라 정치적 입장을 결정짓는 경우가 많았다"며 "그런데 2000년대 후반 금융 위기 이후 집값이 계속 떨어지고 성장세가 무뎌지면서 집권 세력에 대해 비우호적 성향이 강해지고 있다"고 했다.
강원택 서울대 교수는 "건강한 사회를 위해서는 중산층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데, 우리 정치·사회를 바라보는 중산층의 인식은 우려스러울 만큼 부정적"이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