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이 16일 국정조사에서 지난 대선 당시 박근혜 대선 캠프 종합상황실장을 맡았던 권영세 주중 대사와 대선 직전 전화통화를 가졌다는 사실을 스스로 밝혔다. 민주당은 이를 두고 "대선을 앞두고 중립을 지켜야 할 국정원장의 부적절한 행동"이라며 권 대사도 청문회 증인으로 출석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 전 원장은 이날 박범계·박영선 등 민주당 의원 질의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작년 12월 13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 문제로 국회 정보위가 열렸는데 새누리당 의원들이 정상회담 대화록을 공개하라고 강하게 압박했다"며 "하도 답답해서 자정 무렵 정보위가 정회한 사이 권 대사에게 전화를 걸어 상의했다"고 했다. 권 대사는 18대 국회 정보위원장을 역임했지만 당시에는 민간인 신분으로 박근혜 후보 캠프의 종합상황실장을 맡고 있었다. 박범계 의원은 "적절치 않은 통화였다"며 "회의록 공개는 물론 국정원 댓글 사건도 상의했을 거라는 게 기본적 상식 아니냐?"고 했다.
그러나 원 전 원장은 "국정원에서 회의록이 유출된 적이 없다"며 "댓글 사건 관련 상의도 전혀 없었다"고 했다. "'공개가 곤란한데 새누리당은 왜 대화록에 집착하느냐'고 성토하는 그런 차원의 전화통화 아니었느냐"는 권성동 새누리당 의원 질의에 "그렇다"고 응답했다.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의 작년 12월 15일 행적도 논란의 불씨가 됐다. 김민기 민주당 의원은 수사 결과 발표 전날이었던 이날 오후 5시쯤 업무추진비 28만원이 결제된 것과 관련, "누구와 점심 식사를 했느냐?"고 물었다. "댓글 사건 관련 증거를 확보한 이후, 국정원, 청와대, 대선 캠프 관계자들과 은폐 모의를 한 것 아니냐?"는 요지였다. 김 전 청장은 "기억이 나지 않지만 정치적 모의가 있었다면 기억 못 할 리 없다. 정치인과 식사한 것은 아니었다"고 했다. 그러나 민주당 의원들은 "기억나지 않는다면서 어떻게 정치인과 식사하지 않았다고 답변하느냐"고 했다. 또 "식사 후 사우나에 갔다는 사실은 기억하면서 왜 누구와 식사를 했다는 사실을 기억하지 못하느냐"고 따졌다.
김 전 청장이 이날 식사 값을 결제한 신용카드 영수증에 경찰 관계자들과 식사했다고 적었는데 이 영수증에 등장하는 사람들이 "그런 일이 없다"고 부인하는 사실도 논란이 됐다. 김 전 청장은 "결제와 영수증 처리는 수행비서가 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