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을 갖기 위해 5일 미국으로 출국한다. 7일 정상회담, 한·미 동맹 60주년 기념 공동선언 채택, 8일 미국 의회 연설 등이 예정돼 있다. 청와대 대변인은 3일 "이번에 채택되는 한·미 동맹 60주년 공동선언은 앞으로 수십 년을 내다보는 양국 관계 발전 방향에 대한 핵심 요소들이 포함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미국 방문에는 대기업 총수들과 경제 5단체장, 한국노총 위원장 등 52명으로 구성된 경제사절단이 동행(同行)한다. 청와대는 "박 대통령의 이번 방미(訪美)에 대규모 경제사절단이 동행하는 것은 북한 리스크와 엔저가 겹친 한국 경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서"라고 했다.

박 대통령이 취임 후 첫 방문국으로 미국을 선택한 것은 단순히 과거 관행을 따른 게 아니다. 다섯 달 넘게 계속된 북한의 도발에서 비롯된 지금 한반도 안팎의 정세는 한·미 정상이 만나 한반도에 꿈틀거리고 있는 예측 불능의 위험과 그런 위험 국면을 타개할 해법을 진지하게 검토할 수밖에 없도록 만들고 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이 북한발(發) 안보 위기의 양상을 변화시키는 계기가 되도록 해야 한다.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이번 회담에서 공식적으로 합의하고 비공식적으로 상호 양해한 해법은 앞으로 상당 기간 대북 정책의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북한 핵·미사일 위협에 대한 평가와 대응 원칙, 전략·전술, 대북 압박과 대화의 조건 등에 대한 인식을 한·미 정상이 철저히 공유하지 않으면 언제든 북의 전략에 휘둘릴 여지가 있다. 한·미, 한·중, 미·중 관계가 상호 간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같은 방향으로 움직여 북한에 대해 공동보조를 취할 현실적 방안을 찾는 것도 이번 정상회담의 또 다른 중요 과제다.

두 대통령은 한·미 원자력협정 개정, 2015년 말 전시작전권을 한국군으로 이양하는 문제, 60주년을 맞은 한·미 동맹을 북의 핵 위협이 압박하는 상황 속에서 어떻게 풀어갈지 허심탄회하게 논의해야 한다. 이 문제들은 두 대통령이 임기 중 반드시 풀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고, 한·미 동맹이 한 단계 질적으로 업그레이드되기 위해서도 반드시 거쳐야 할 단계다.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이 파트너가 되는 앞으로의 4년은 한반도의 운명을 좌우할 수도 있는 결정적 시기이다. 두 대통령이 이번에 인간적 신뢰를 쌓아 앞으로 어떤 모양으로 출현할지 모를 위협에 대처하는 파트너십을 만드는 것 역시 중요하다.

[사설] 이 정도면 세금이 아니라 폭탄이다
[사설] 국제 망신 시키는 시험문제 도둑질 학원 업자 퇴출시켜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