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날엔 작업을 하지 않아요. 색깔의 미묘한 차이를 제대로 판별해낼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8일(현지시각) 오전, 창밖으로 봄비가 내리는 이탈리아 밀라노 작업실에서 '색(色)의 마법사'는 이렇게 말했다. 자신의 작품을 '영혼을 가진 디자인'이라 말하고, 그 영혼의 중심에 '아름다운 컬러'가 있다고 얘기하는 세계적인 디자인 거장 알레산드로 멘디니(82).
대중들에겐 여자아이 얼굴 모양의 와인 오프너 '안나 G'를 만든 디자이너로 더 잘 알려진 멘디니는 올해 밀라노 디자인위크(9~14일)에만 10개의 장외(場外) 전시에 참여한다고 했다. 병마개·후추통·양초꽂이 등의 '안나 G' 시리즈를 비롯, 18세기 빈티지 소파에 점묘화를 결합시킨 의자 '프루스트', 원색 벽면과 도트(점) 문양이 돋보이는 네덜란드 그로닝겐 미술관 등 멘디니의 작품은 팍팍한 현실을 위로해주는 듯한 동화 같은 디자인과 눈부시게 화사한 색상이 특징. 그는 "누구나 감동을 추구하는 욕구가 있다"며 "디자인은 현실의 어려움을 헤쳐나올 수 있도록 사람들에게 감동의 힘을 실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했다.
"물론 평소엔 디자인의 힘을 잘 인식하지 못하죠. 뭘 모르는 사람들이 '병따개가 그렇게 예쁠 필요가 있느냐' '굳이 디자인 후추통이 필요하냐'고 묻는 것처럼요. 하지만 막상 잘 된 디자인을 사용하면 전에 쓰던 물품과 확연한 차이를 느끼게 돼요. 그게 색상이든, 작은 촉감이든 간에요. 디자이너는 그런 식으로 사람들이 쉽게 생각하지 못하는 부분까지 향상시켜야 하는 겁니다."
노(老)디자이너는 "내가 영향을 받은 건 경제상황이나 기후 같은 게 아니라, 어릴 때부터 보아온 20세기 초반 큐비즘(입체파)과 아방가르드 미술"이라고 했다.
LG전자, 한국도자기, 롯데 등 수많은 한국 기업과 함께 일하기도 했던 그는 "한국 기업과 일하는 데서 얻는 장점이 많았다"며 "한국인들은 대체로 결과물을 '빨리빨리' 요구하기 때문에 나 스스로도 바짝 긴장하고 일에만 집중하는 효과를 거뒀다"고 했다. 그는 "한국 디자인의 진짜 문제는 '내 것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들'에게 있다"고 했다. "무척 아름다운 공예품과 역사를 갖고 있으면서도 스스로 사랑하지 않는 것 같다"는 이야기였다.
멘디니는 "지난 40여년간 전시에 참여했지만 올해 디자인위크는 첫 번째 조명 브랜드인 '라문(Ramun)'을 선보인다는 점에서 나에게는 특히 각별하다"고 했다. 라문은 팔순(八旬)을 넘긴 멘디니가 처음으로 기획·디자인·제작·마케팅 등에 전부 관여한 조명이다. 또렷한 빨강·노랑·파랑 동그라미를 테마로 한 '아물레또' 라인이 대표적으로, 전선과 스프링을 전부 안으로 숨긴 간결하고 담백한 구조가 돋보인다. 그는 "해가 뭔지, 달이 뭔지를 두고 일곱 살짜리 손자 녀석과 대화하다 이 동그라미 디자인이 떠올랐다"며 웃었다.
'카사벨라' '도무스' 등의 건축·디자인잡지 편집장으로 활동하다 만 50세 늦은 나이에 디자이너로 전업(轉業)한 이 디자이너는 "내게 디자인이란 매일 전쟁이었다"고 말했다. 시장성과 스스로 만족하는 디자인의 조화가 그만큼 어려웠다는 이야기로 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