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지식경제부를 확대 개편한 산업통상자원부의 약칭이 3월 20일 '산업부'로 결정됐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이런 저런 고민이 있었다고 한다. 고민의 핵심은 외교부에서 15년만에 산업부로 옮겨온 통상 부문을 명칭에 어떻게 담느냐였다.
처음에 나온 후보는 일반적인 작명 방식대로 앞글자를 하나씩 딴 '산통자부'였다. 하지만 네 글자여서 너무 길고, 발음도 어색해 일찌감치 후보군에서 탈락했다. 다음으로 '산자부'가 후보에 올랐으나 역시 배제됐다. 과거 산업자원부 시절 약칭으로 쓰여 새로운 느낌이 없는데다, 새 식구가 되는 통상을 포함하지 못한다는 한계 때문이었다.
가장 유력하게 떠올랐던 약칭은 '산통부'였다. 여야가 갈등할 정도로 통상 기능 이전 문제가 중요했고, 내부에서도 통상을 약칭에서 뺄 수 없다는 분위기가 우세했다. 하지만 '산통이 깨지다'와 같이 부정적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 것이 걸림돌로 지적됐다.
물론 반론도 있었다. "지경부(지식경제부의 약칭)도 처음엔 '이 지경, 저 지경'이라는 느낌을 준다, 산자부는 '산자, 죽은 자'란 어감이 있다는 말들이 나왔지만 계속 쓰다 보니 괜찮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결국 모두 벽을 넘지 못하고, 약칭은 '산업부'로 결론이 났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자'나 '산통'은 부처의 성격을 국민에게 잘 전달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많아 산업부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산업부는 조직 개편을 통해 통상차관보를 신설하고, 조직을 2차관, 1차관보, 6실로 바꿨다. 통상 관련 2개국엔 심의관을 각 1명씩 두기로 했다. 본부 기준 정원은 797명에서 828명으로 늘었다.
입력 2013.03.31. 14:46
100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