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15분만 투자하면 걸어다니는 백과사전이 될 수 있습니다.'
조선일보가 뉴스앱·모바일 웹·조선닷컴에 오늘의 시사상식을 연재합니다. 한 주간 조선일보 지면을 장식한 수많은 기사들 가운데 입사 시험에 나올만한 시사상식 용어를 정리해줍니다. 조선일보 현직 기자들이 매일 신문에 나오는 시사용어를 엄선해 쉽게 풀이해줍니다. 시사용어가 쓰인 기사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 북한 인권조사위원회(COI·Commission of Inquiry)

북한에서 자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고문과 식량수탈, 정치범 강제노동수용소 등을 조사하기 위해 만들어진 유엔 산하 공식기구. 2013년 3월 21일 유엔 인권이사회(UNHRC) 47개 회원국 만장일치로 신설됐다. 조사위원 3명, 조사관 3명으로 발족했으며 앞으로 1년 동안 활동할 예정이다. 김정은 정권을 반(反)인도주의 범죄를 저지른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 International Criminal Court)에 세울 수 있는 디딤돌을 마련한 조치로 풀이된다. 북한 COI는 고문, 강제구금 외에도 북한 정권이 다른 국가의 국민을 납치한 범죄에 대해서도 조사할 것을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8만명이 넘는 6·25 전시(戰時) 납북자 문제를 포함, 지난 60여년간 김일성 일가(一家)가 저질러 온 각종 납치 범죄를 조사할 예정이다.(조선일보 2013년 3월23일자 A1·3면)


■ 쿠르드(Kurd)족

터키를 비롯한 중동 지역 국가에 흩어져 거주하는 독립 국가 없는 최대 민족. 3000만~3800만명으로 추산된다. 2013년 3월 21일 터키 쿠르드 반군 지도자 압둘라 오잘란(65)이 30년간 벌여온 무장투쟁 중단을 선언하면서 쿠르드족의 향후 운명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쿠르드족은 독자적인 언어와 문화를 가지고 있는데도 근대 국민국가를 이루지 못한 최대 민족이다. 터키 남동부를 비롯해 이라크 북부, 이란 서부 산악지역 등에 흩어져 유목 생활을 해왔다. 이들은 각국 정부로부터 온갖 탄압을 받았다.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은 1980~88년 이란·이라크 전쟁 때 화학무기를 사용해 현지 쿠르드족 5000명 이상을 학살했다. 이란을 지원했다는 것이 이유였다. 이라크의 쿠르드족은 미국의 이라크 전쟁 등을 거치면서 자치권을 얻었다.
쿠르드족 역시 과거 독립 국가 수립의 기회를 얻기도 했다. 1차 세계대전 후 연합국과 오스만튀르크 제국은 세브르조약을 통해 쿠르드족의 독립 국가 건설을 약속했다. 하지만 오스만튀르크가 무너지고 터키·이란·이라크 등 각국이 수립되면서 옛 조약은 파기됐다.(조선일보 3월23일자 A14면)


■ 건강세(稅)

건강보험 재정 확충을 위해 정부가 신설을 추진하고 있는 세금. 고령화 여파로 건강 보험의 대규모 적자가 예상되자 마련한 대책이다. 정부가 별도의 세금을 신설해 건강보험 재원을 늘리는 방법을 추진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건보료 납부자인 20~59세 인구는 2030년까지 800만명이 줄어드는 반면, 같은 기간 노인은 650만명 늘어난다. 돈 낼 사람은 줄어들고 돈 쓸 사람만 늘어나 건보 재정이 지속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추가 재원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건강세 부과에 대부분 찬성한다.  기획재정부는 부가가치세·개별소비세·주세 등 3개 세금에 건강세를 부가해 징수하는 방안을 검토중인데, 각각의 세금에 0.03% 포인트씩 덧붙여 징수하면 연간 3조여원의 건보 재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했다. (조선일보 3월26일자 A1,6면)


■ TPP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rans-Pacific Partnership)의 줄임말. 미국·캐나다·멕시코·호주·뉴질랜드·싱가포르·브루나이·베트남·말레이시아·칠레·페루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 11개국 간에 진행 중인 자유무역협정(FTA)을 말한다. 일본이 최근 참여 의사를 밝혔고, 우리나라도 참여 여부를 검토 중이다. 당초 2005년 6월 뉴질랜드·싱가포르·칠레·브루나이 등 4개국 체제로 시작했지만, 2008년 2월 미국이 참여하면서 회원국 수가 늘어나고 있다.
현재 글로벌 통상 체제의 중심축은 다자주의→양자주의→거대 블록화로 옮겨가고 있다. 미국·EU·중국 등 경제 대국을 중심축으로 주변 국가들을 연결해 광역 경제권을 구축하려는 구상이다. 이는 157개 회원국을 거느린 WTO(세계무역기구) 중심의 다자 간 자유무역협정인 도하 라운드(DDA)가 2001년 협상을 시작했지만 13년이 지나도 타결을 보지 못한 채 빈사 상태에 빠져 있기 때문이다. 다자주의 모델의 성사 가능성에 회의를 품은 각 나라들은 두 나라 간 또는 인접 국가끼리 소규모로 FTA를 진행해왔지만, 최근엔 보다 많은 나라와 넓은 지역을 대상으로 FTA를 확장하고 있다. (조선일보 3월27일자 B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