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단의 중국현대사
왕단 지음|송인재 옮김|동아시아|560쪽|2만2000원

메가폰을 든 대학생이 톈안먼 광장의 시위대를 향해 소리치고 있다. 1989년 5월 중국 공산당 지도부에 민주개혁을 촉구하고, 학생운동의 정당성을 주장하며 집단 단식을 선언하는 순간이다. 베이징대 역사학과 학생으로 6·4 톈안먼 시위를 이끌면서 민주화운동의 상징으로 떠오른 왕단(王丹·44·사진)의 24년 전 모습이다.

왕단은 반혁명선전선동죄로 4년 형을 선고받았다. 석방 후엔 인권운동에 뛰어들었다가 1995년 정부전복음모죄로 또 11년 형을 받았다. 1998년 국제 여론의 압력으로 석방돼 미국으로 추방됐고, 노벨평화상 후보로 세 차례나 올랐다. 하버드대 역사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왕단이 2009년 타이완 칭화대에서 '중화인민공화국사'로 1학기 동안 강의한 내용을 묶은 게 이 책이다.

정치운동에 의존하는 공산당

왕단은 중국 공산당 통치의 근본 문제 중 하나는 문제 해결을 제도적 차원이 아니라 정치운동과 국가 폭력에 의존하는 것이라고 비판한다. 1950년대 토지개혁과 삼반(三反)·오반(五反)운동, 반(反)우파운동, 대약진운동 모두 그랬다. 공산당과 정부의 부패와 권력 남용을 견제하려는 삼반운동이나 기업가들의 탈세, 부패를 겨냥한 오반운동은 대상자들의 잘못을 부풀리고, 군중을 동원하는 폭력적 방식으로 진행했다. 모욕과 학대, 구타는 일상적으로 이뤄졌고, 자살자가 속출했다.

토지개혁은 중국 공산당이 폭력을 동원해 국가를 개조한 대표적 사례였다. 선전에 능한 중국 공산당은 문예 선전과 국가 폭력을 결합했다. "공연을 마친 후 바로 지주를 단상 위로 끌어올려 비판투쟁을 했다. 법원장도 우리와 함께했다. 대지주는 비판투쟁이 끝난 후 무대 밖으로 끌려나와 몇 미터 떨어진 곳에서 총살당했다." 당시 공연 출연자의 회고다. 법이 군중 폭력을 처벌하지 않는다는 분위기가 퍼지면서 폭력의 강도는 심해졌다.

1989년 5월 톈안먼 광장에서 집단 단식을 선언하는 왕단. 베이징대 역사학과 학생으로 시위대를 이끌던 그는 반혁명선전선동죄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왕단은 대약진운동으로 4000만명이나 굶어죽는 재앙이 일어났는데도 대규모 저항이 일어나지 않은 이유를 이렇게 본다. 공산당이 1949년 이후 '반혁명 진압'부터 '반우파 투쟁'까지 폭력으로 인민의 반항 의지를 억눌렀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정보 봉쇄와 여론 선전을 통해 기근의 참상이 알려지는 것을 막은 것도 작용했다. "4000만명의 아사를 초래하는데도 안정적 통치를 유지할 수 있는 비밀은 바로 폭력과 기만에 있다."

6·4 톈안먼 시위가 성공했다면…

왕단의 현대사 강의 중 가장 실감나는 대목은 역시 1989년 6·4 톈안먼 사건이다. "4시 7분 톈안먼 광장의 모든 불이 갑자기 꺼졌다! 인민대회당 안에서 머리에 헬멧을 쓰고 위장복을 착용하고 손에는 자동소총을 든 수많은 사병이 나타났다. 4시 35분 광장의 불이 모두 켜졌다…일부는 천막을 철거하러 갔고, 일부는 앉아쏴 자세로 전방 10여m 지점에서 학생들을 향해 총을 겨눴다."

왕단은 톈안먼 시위가 성공했다면 자오쯔양을 비롯한 당내 개혁파 세력이 힘을 얻고 중국이 더 빨리 시장경제의 길로 접어들면서 언론 자유 등 정치개혁이 순조롭게 추진됐을 것이라고 주장한다. 민주화 진전에 따라 오늘날 출현한 사회 불공정 문제도 감소시켰을 것이라는 얘기다.

공산당이 사과해야 할 네 가지

<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padding: 0 5px 0 0;"><a href=http://www.yes24.com/24/goods/8475957?CategoryNumber=001001017001007001&pid=106710 target='_blank'><img src=http://image.chosun.com/books/200811/buy_0528.gif width=60 height=20 border=0></a></span><a href=http://www.yes24.com/home/openinside/viewer0.asp?code=8475957 target='_blank'><img src=http://image.chosun.com/books/200811/pre_0528.gif width=60 height=20 border=0></a><

'혁명의 이름으로 사람을 죽인다. 개혁의 이름으로 장물을 나누어 갖는다. 조화의 이름으로 입을 틀어막는다.' 왕단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역사를 세 문장으로 요약한 네티즌의 이야기를 소개한다. 그는 중국 공산당이 지난 60여 년간의 통치에 대해 네 가지 사과할 것이 있다고 했다. 헌정민주를 실시하고, 각 정파와 연합정부를 구성하겠다는 집권 약속을 어긴 것, 국가 폭력을 남용해서 (최대) 8000만 명의 생명을 앗아간 것, 농민과 농촌을 수탈하고 박해한 것, 국민의 인권을 박탈한 것 등이다. 왕단은 격심한 정치운동을 겪은 중국인들이 도덕적 판단의 근거를 어떤 집단이나 외부에 기대고, 독립적 판단을 할 수 없게 된 것을 현대사의 부정적 유산으로 봤다. 이런 비(非)주체적 인간형이 오늘날 중국이 현대화로 나아가는 데 심각한 장애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의미심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