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민족주의는 필수적이지만, 극단적으로 치우치면 배외(排外)주의가 될 수 있다. (일본에) 극단적 분위기가 퍼지고 있다."

일본 노다 요시히코(野田佳彦·사진) 총리가 인터뷰를 통해 "거친 말이 대중을 사로잡을 수는 있지만, 일본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고 19일 파이낸셜타임스가 전했다.

노다 총리는 또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 문제와 관련, "(중국과의 관계에서) 냉정하게 대응해야 한다. 단일 이슈(영토 문제)에 집중하면 모두가 손해"라면서 "강한 언어로 상대를 자극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영토 문제와 관련 불퇴전의 각오로 임하겠다"면서 무기수출 금지 3원칙을 완화하고 집단적 자위권 도입을 추진하던 노다 총리가 갑자기 입장을 바꿔 극우 정치인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를 보낸 것은 내달 16일 선거를 의식한 언행이다. "일본 내에는 전범이 없다"고 주장할 정도로 극우 성향인 노다 총리는 지난 7월 센카쿠 국유화 방침을 발표해 중국과의 갈등을 고조시켰다.

그러나 아베 신조 자민당 총재, 이시하라 신타로 일본유신회 대표 등 극우 정치인들이 헌법개정, 군대보유, 핵무장 등 군국주의적 정책 경쟁을 펼치자 노다 총리는 이와 차별화하기 위해 입장을 선회했다. 민주당 지도부는 최근 선거와 관련, 헌법수호 등 중도노선을 표방했다.

한편 노다 총리는 자민당의 은퇴 정치인 자녀가 아버지 선거구를 물려받는 것에 대해 "민주당에서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정치세습 문제를 쟁점화했다. 민주당은 정계 은퇴를 선언한 하타 쓰토무(羽田孜) 전 총리의 선거구에 장남인 하타 유이치로(羽田雄一郞) 국토교통상이 공천을 신청했지만, 이를 받아들이지 않기로 결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