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의 여성대통령론과 관련, ‘생식기’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연세대 황상민 교수와 이를 비판해 온 새누리당 김성주 공동선대위원장이 8일 CBS 라디오에서 잇따라 출연해 또 다시 설전을 벌였다.
앞서 황 교수는 지난달 31일 채널A ‘박종진의 쾌도난마’에 출연해 새누리당의 여성대통령론과 관련, “한국 사회에서 여성은 애를 낳고 키우면서 여성이라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인데, 박 후보가 그런 상황이냐”, “(박 후보가) 여성과 일치하는 범주가 있느냐, 결혼을 했느냐, 애를 낳았느냐”고 말했다. 그는 사회자가 “(박 후보가)그래도 여성성을 갖고 있죠?” 라고 하자, 황 교수는 “그거는 생식기의 문제지 여성으로서의 역할을 한 거(는 아니지 않으냐)”라고 말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황 교수의 발언은 한 나라의 대통령 후보에 대한 인격 말살이고 여성 전체에 대한 인격 모독이다. 그런 정신병자 같은 사람이 교수를 하고 있다는 사실이 경악스럽다”라면서 연세대를 항의방문해 황 교수에 대한 조치를 요구했다.
황 교수는 이날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김 위원장에 대해 “박 후보를 그냥 인간의 한 사람으로 보기보다는 마치 신적인 존재로 우상화하는 마음일 경우 ‘생식기’라는 단어를 들으니까 ‘신성모독이다’ ‘불경스럽다’고 하는 것”이라며 “(나의 발언에 대해) 경악한다는 반응은 박 후보를 인간으로 보기보다는 여왕으로, 여왕 이상으로 신격화된 존재로 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논란이 된 ‘생식기’ 발언에 대해 “여성성은 생식기의 문제가 아니라, 그 사람이 어떤 사회적 역할을 하느냐가 (내 발언의) 가장 핵심”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생식기’라는 표현에 대해서는 “생식기는 가장 전문적이고 의학적이며, 중립적인 단어”라며 “(대학 강의에서도) ‘남성도 생식기를 가지고 있고, 여성도 생식기를 가지고 있다. 단지 그게 보이느냐, 안 보이느냐의 차이뿐이다’ 라는 것을 생물학적으로 분명하게 알려주기 위해 이 단어를 사용하는데 이 단어가 많은 분에게 그렇게 불편함을 야기한다는 것은 꿈에도 상상을 못 했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김 위원장이 연세대를 항의방문한 것에 대해서는 “정치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행동이라고는 생각하지만 방송 내용에 대해서 제대로 파악을 하고 해야 한다”며 ”이런 정치적인 제스처를 하는 것은 아직도 국민을 기만하는 정치인의 구태”라고 비난했다.
발언 철회나 사과 의향에 대해서는 “내가 어떤 발언을 철회해야 하는지 알려 달라. 철회할 발언을 특별히 한 것 같지는 않다”며 “놀라운 것은 그분(김 위원장) 스스로도 ‘영계’라는 단어를 사용하면서 남성과 여성을 상당히 차별화했는데 ‘퇴계’들이 얼마나 많이 분노했는지 한 번 생각을 하면 이런 쇼는 하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황 교수는 김 위원장에게 “‘정치적 쇼’를 하지 말고, 진짜 공론화하고 싶으면 나에게 직접 이야기를 하고, 방송이나 공개적인 장소에서 토론하길 바란다”고 제안했다.
황 교수는 여성대통령론에 대해서도 “사실 박 후보는 강단이 있는 마치 ‘치마만 두른 대장부’의 모습을 더 잘 보여줬는데, 그런 분이 갑자기 여성 대통령이라고 얘기하면 단순히 득표를 위한 전략이지 진심으로 국민에게 정체성을 드러낸 것은 아니다라는 측면에서 지적을 한 것”이라며 “그런 측면에서 국민들이 사기 당하는 것 같은 느낌까지도 받는다”고 했다.
이어 출연한 김 위원장은 황 교수의 발언에 대해 “들을수록 정말 한심한 작태라고 느껴진다”라며 “입만 살아서 교수를 하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놀랍다”고 비난했다.
연세대 출신인 그는 “(황 교수가) 어디서 사주를 받았는지는 모르지만 심지어 입에 담지 못할 이야기까지 방송에 나와서 (했는데) 교수가 인기를 걸고 돈을 번다면 정말 제 모교가 수치스럽다”고 말햇다.
김 위원장은 “황 교수가 옛날에 김연아 선수에 대해서도 너무나 참지 못할 이야기를 했는데 이 분이 정신이상에 가깝지 않느냐”라며 “왜 잘 나가는 여성에 대해서 못 참는지 심리학 교수인 자신의 심리를 먼저 파악을 해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연세대가 징계위원회에 반드시 회부해서 (황 교수가) 교수들과 학생들에게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황 교수의 공개토론 제안에 대해서는 “시간낭비”라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