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 미국 동부를 강타한 허리케인 '샌디'와 같은 폭풍 해일의 위험성에 대해 일부 과학자들이 이미 3년 전 경고와 함께 대비책을 마련했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5일 전했다. 2009년 뉴욕시에서 미국토목공학회(ASCE) 주최로 열린 한 세미나에 참석한 공학자들은 폭풍 해일의 위협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보여주고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응책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미나에는 뉴욕시 재난대책 관련 부서 공무원들도 참석했다.
당시 전문가들은 뉴욕시를 보호하기 위해 뉴욕항 일대에 방파제를 설치하거나 조수에 따라 해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는 수문을 설치할 것을 건의했다. 당시 세미나에 참석했던 말콤 바우먼 뉴욕주립대 해양학과 교수는 "(2005년 발생한) 카트리나 때도 과학자들이 몇 년 전부터 그같은 사태를 경고했다"며 "(당시와) 똑같은 상황이 재현됐다"고 말했다고 NYT가 전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가 당시 전문가들의 제안을 받아들였더라도 이번 샌디의 피해를 비켜가지는 못했을 것이란 지적이다. 이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여러 해가 소용되기 때문이다.
또 방파제 등을 건설하는 데 드는 비용이 대략 100억달러(약 10조9000억원) 이상으로 추산돼 마이클 블룸버그 뉴욕시장은 비용 대비 효과에 의문을 제기했다.
하지만 방파제 건설에 찬성하는 전문가들은 영국 런던의 템스 강이나 네덜란드 등에 이 같은 방안이 이미 적용됐다고 반박한다. 앤드루 쿠오모 뉴욕주지사도 최근 제방을 쌓는 방안을 신중하게 검토해 볼 가치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