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인권운동가 김영환씨가 12일 오후 서울 연세대학교 새천년관 대강당에서 강연을 하고 있다. 김씨는 1986년 '강철서신'이란 유인물을 통해 국내에 주체사상을 전파했다. 그는 1991년 북한 잠수정을 타고 밀입북해 김일성 주석을 만났고, 1992년 서울대 법대 동기인 하영옥씨와 함께 민족민주혁명당을 창당하기도 했으나 주체사상에 회의를 느껴 1997년 민혁당을 자진 해체했다. 이후 북한 민주화와 인권운동에 전념했다. 2012.9.12

중국 당국으로부터 고문을 당했다고 주장해온 북한인권운동가 김영환씨가 유엔 고문보고관에 대한 청원서 제출을 유보하겠다고 20일 밝혔다.

김씨는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당분간 중국 정부가 나에게 가한 물리적 가혹행위와 관련한 사실인정과 사과 요구를 유보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김씨측이 최근까지 중국 정부에 김씨에 대한 고문 사실을 인정할 것을 강력히 촉구해온 데 비해 입장을 바꾼 것이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김씨는 이에 대해 "계속해서 중국 정부를 압박하는 것이 지금도 중국 현지에서 활동하는 북한인권운동가들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입장 선회와 관련해서 중국 당국과 접촉이 있었냐는 질문에 김씨는 "내가 직접 (접촉)하지는 않았다"면서 "사정이 있어서 그렇게 됐다"고 말했다.

이날 '북한인권운동가 김영환 고문대책회의' 측은 보도자료를 통해 "지금까지 내외신 언론을 통해 이 문제를 한국과 중국, 국제사회에 공론화했다"며 "이로써 추후 중국 내 북한인권운동가들에 대한 강제구금과 고문 등의 행위는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중국 압박 활동 유보에 대한 입장을 설명했다.

대책회의측은 "북한인권운동가들의 신변안전을 항상 고려해 온 바 현 시점에서 향후 중국의 태도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김씨 등 한국인 4명은 3월 29일 중국 당국에 국가안전위해 혐의로 체포돼 강제구금돼 오다 체포된지 114일만인 7월 20일 석방돼 귀국했다.

김씨는 귀국 후 중국 정부가 자신에게 전기고문 등을 가했다고 주장하며, 유엔의 '고문과 기타 비인간적이며 모멸적인 처우 및 처벌에 대한 특별 보고관'에게 청원서를 제출할 계획이었다.

이와 관련, 외교부는 중국 정부에 대해 김씨에 대한 고문 여부를 재조사해 줄 것을 요구했지만, 중국 정부는 김씨에 대한 가혹행위가 없었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