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v style="text-align:center"><span style="padding: 0 5px 0 0;"><a href= http://www.yes24.com/24/goods/6994142?CategoryNumber=001001017001007001&pid=106710 target='_blank'><img src=http://image.chosun.com/books/200811/buy_0528.gif width=60 height=20 border=0></a></span><

중국의 서진: 청의 중앙유라시아 정복사

피터 C.퍼듀 지음|공원국 옮김|길|924쪽|4만8000원

"곡식이 바닥나면 우리는 곡식을 얻기 위해 강둑과 늪으로 갈 것이다. 나는 갈단을 쫓기 위해 눈을 먹을 것이다. 우리는 절대로 회군할 수 없다."

1696년 준가르 지도자 갈단을 붙잡기 위해 나선 청나라 강희제의 원정군은 보급난에 시달렸다. 강희제는 주린 배를 채우려고 눈을 삼키면서 버티려 했지만, 군대를 돌릴 수밖에 없었다. 벌써 세 번째 준가르 원정이었다. 강희제는 네 번째 친정(親征)을 마치고서야 갈단(재위 1671~1697)의 죽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역대 황제 중 다른 민족을 정벌하기 위해 네 차례나 직접 나선 것은 거의 유례가 없다.

준가르는 중앙유라시아를 무대로 활약한 오이라트 몽골족이 17세기 들어 세운 유목 제국이다. 지금은 잊힌 제국이지만, 오늘날의 신장(新疆), 몽골, 시베리아 일부까지 영향력을 떨치며 청과 러시아를 위협하던 막강한 세력이었다. 미국 예일대 퍼듀 교수는 17세기부터 18세기 중반까지 만주족의 청과 러시아, 그리고 몽골족 준가르가 경합을 벌인 유라시아 심장부를 주목한다. 이 책은 2005년 미국에서 출간됐을 때 학계의 논란이 됐다. 중국 중심의 역사 서술 대신 변경(또는 非한족)을 중심에 두고 중국사를 조명했기 때문이다.

준가르 원정에 네 차례나 직접 나선 청나라의 강희제. 그는 수차례에 걸쳐 북경에서 강남 지방을 순시한 군주이기도 했다. 그림은‘강희남순도’(부분).

준가르가 활약한 중앙유라시아 지역은 흔히 정치적·문화적으로 분열된 후진 사회로 간주돼왔다. 그러나 이곳은 종교, 언어, 문화가 서로 섞였고, 교역이 활발하게 이뤄지던 선진 지역이었다. 저자는 "중국과 러시아라는 근대 제국의 점령이 19세기에 이 지역을 후진적인 곳으로 격하한 것이지 이 지역의 본질적인 특징이 그렇게 만든 것은 아니다"고 말한다.

준가르의 몰락을 가져온 원인은 1745년 갈단 체렝의 죽음이 몰고온 내부 분열이었다. 둘째 아들 체왕 도르지 남잘이 아버지를 계승했으나 폭력적이고 괴팍했다. 첫째인 라마 다르자가 동생을 제거하고 후계자가 됐지만 손꼽히는 전사 다와치, 아무르사나와 충돌했다. 라마 다르자가 죽자 권력을 차지한 다와치는 아무르사나에게 등을 돌렸다. 아무르사나는 청에 자기를 준가르 국가 수장으로 앉혀주면, 부하 5000명을 데리고 항복하겠다고 제안했다. 1755년 아무르사나는 청나라 군대를 이끌고 다와치를 정벌하러 왔다. 다와치가 포로로 잡힌 뒤, 아무르사나는 준가르 지배자로 청에 맞섰다. 청은 아무르사나를 추격했고, 러시아로 도망간 아무르사나는 천연두를 앓다가 죽었다. 이로써 준가르 제국은 사실상 해체됐다.

퍼듀 교수는 청의 준가르 정복이 세계사적 사건이었다고 평가한다. 우선 청의 지배자와 신민들에게 이 승리는 자기들이 알고 있던 세계의 범위가 획기적으로 확장된 사건이었다. 정복으로 국가 영토가 광범위하게 확대되면서 신민들의 이주, 무역, 행정, 그리고 역사적 상상력의 새로운 장이 열렸다. 청의 정복은 또한 17~18세기 당시 세계 곳곳에서 진행되던 제국주의적 팽창의 일부이기도 했다. 지구 상 거의 모든 지역에서 새롭게 중앙집권화된 국가들이 군사적 정복, 이주민, 선교사, 그리고 그 뒤를 따르는 무역상들을 통해 영토를 확장해나갔다. 중국의 경험 또한 이런 세계적 현상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만이 아닌, 보편적 관점에서 봐야 한다는 논리다.

중국의 팽창은 유라시아 역사의 전환점을 마련했다. 준가르 정복은 기원전 2000년 이후 농경 사회의 가장 강력한 대안이었던 유목 민족이 역사의 무대에서 주역 지위를 박탈당한 세계사적 사건이었다. 많은 내륙아시아인은 유목 전사들의 쇠퇴가 화약 확산과 중앙아시아 대상 무역의 이동 때문에 16세기에 끝났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중앙유라시아 최후의 유목 국가 준가르는 18세기 중반까지 초원을 죄어오는 만주족 군대와 맞섰다. 방대한 분량과 낯선 인명, 지명 때문에 혼란을 느낄 수 있겠다. 하지만 청·러시아와 경쟁했던 준가르 제국의 복권을 통해 유라시아사를 보는 새로운 안목의 기쁨도 함께 누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