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주상복합아파트가 임대 아파트 입주민 전용 엘리베이터를 만드는 등 일반 입주민과 임대 입주민을 분리하는 시설을 설치해 논란이 되고 있다.

서울 마포구 합정동에서 분양 중인 이 고급 주상복합아파트는 101~ 104동까지 총 4개동, 617가구 가운데 관련법령에 따라 임대 물량 77가구(66∼81㎡)를 103동 4∼10층에 지었다. 임대 입주민이 이용하는 별도의 입구와 엘리베이터를 설치했고,임대 입주민은 헬스클럽 등이 있는 주민편의시설인 커뮤니티센터도 이용할 수 없는 상태다. 이 때문에 일반 입주민과 임대주택 세입자들이 입주 후 갈등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이 아파트 단지는 서울시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조례에 따라 아파트 용적률의 17% 이상을 반드시 임대아파트로 지어야 하는 도시환경정비사업장이다.

서울시는 이 아파트의 임대 물량을 준공 후 매입해 저렴한 장기전세주택인 '시프트'로 분양하는 방안을 고려 중이다. 예상 전세금은 1억3000만~2억원 가량이다. 일반 분양 물량의 가격은 3.3㎡(1평)당 평균 분양가가 2800만원이고, 최고층의 펜트하우스의 경우는 분양가가 34억1000만원 정도다.

아파트 관계자는 "규정에 따라 임대 주택을 지었으며, 일반 입주자들이 임대 세입자와 동선이 겹치는 것을 기피할 것으로 예상돼 동선을 분리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주민편의시설 이용 등에 대해서는 입주 후 주민들이 자체적으로 결정할 문제"라고 말했다. 인터넷과 트위터 등에는 "구별인지 차별인지 모르겠다", "차라리 철조망을 쳐서 격리하면 더 확실할 것"이라는 비판 여론이 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