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감사에서 1860억원의 분식회계가 드러난 우정사업본부지식경제부 산하 공무원 조직으로 4만3000명의 인력을 가진 '공룡 조직'이다. 우편·예금·보험 사업부문을 합해 한 해 예산 규모가 6조5641억원에 달한다. 1995년 7월 공사화 추진이 중단되고 2000년 7월 우정사업본부가 설치돼 경영합리화가 추진됐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감사원의 감사에서 드러난 각종 비리는 몸집 부풀리기와 실적 우선주의, 뇌물 등 공무원 조직 비리의 전형적인 모습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우정사업본부의 우편물 취급량은 총 48억7000만통으로 국민 1인당 97.8통 수준이다. 2007년 이후 감소추세다. 하지만 2010년 매출액은 2조4622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우편물 취급은 매년 감소했지만 매출액이 증가한 것은 전형적인 매출 부풀리기의 결과였다. 충청지방우정청은 민간 택배회사보다 60% 낮은 가격에 택배 물량을 대거 인수해 2010년에만 15억원의 적자가 발생했지만, 해당 우정청은 2010년 택배사업 1위 부서로 평가받았다. 서울광진우체국 역시 민간 택배업체로부터 원가의 절반 수준에 택배물량을 인수해 수익을 악화시켰지만, 소속 직원들은 1억1200만원의 포상금을 받았다.

예금·보험 등 금융 사업부도 마찬가지다. 예금 사업의 주된 수익원인 자금운용 상황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예금 확장에만 치중했다. 시중 금리는 떨어지는데 고이자 예금 유치에만 열을 올려 역마진(손실)을 초래했다. 예금사업부는 연초 계획된 수신목표 달성을 위해 금융기관으로부터 5조원의 예금을 유치해 수익이 낮은 단기상품에 투자, 2010년 858억원의 손실을 봤다.

심지어 우체국 직원이 영업실적을 높이기 위해 6년 전 사망한 아버지 명의로 계좌를 개설하기도 했다. 2007년부터 작년 4월 말까지 이런 차명계좌가 110개에 달했지만 누구도 문제 삼지 않았다.

별정우체국은 뇌물의 온상이었다. 별정우체국은 우체국이 없는 지역에 주민 편의를 위해 개인이 우체국을 만들고 지식경제부 장관의 지정을 받아 운용하는 우체국으로 1961년부터 시행돼왔다. 경북의 한 별정우체국장은 1억8500만원의 뇌물을 받고 자격없는 사람에게 우체국 운영을 넘기기도 했다.

우정사업본부는 분식회계에 대해 "회계 전문 인력이 없고 금감원의 회계 규정이 바뀐지 몰랐다"고 해명했다. 4만명이 넘는 조직에 6조원이 넘는 예산을 굴리는 정부 조직에 회계 전문가가 단 한 사람도 없다는 변명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