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작 동네 뒷산 올라가면서 에베레스트 등반하는 산악인 수준의 등산복을 입을 필요가 있느냐'고 비난하다가도 막상 입어보면 생각이 싹 바뀐다. 비는 막아주고 땀은 배출시켜 뽀송뽀송 쾌적한 몸 상태를 한 번이라도 경험해보면 왜들 그렇게 비싼 돈 주고 전문가급 기능성 아웃도어 의류를 구입하는지 이해하게 된다.
◇드라이클리닝 금물
안타까운 건 비싸게 산 기능성 의류를 잘 관리하려는 마음에 드라이클리닝을 하는 경우이다. 고어텍스나 쿨맥스, 더미작스, 스톰핏, 쿨맥스 같은 고기능성 소재 의류를 드라이클리닝 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다. 기능성 의류는 멤브레인(얇은 기능성 막)을 코팅한 구조로 돼 있다. 멤브레인은 물방울이 의류 표면에 스며들지 않고 구슬처럼 튕겨나가게 하고, 땀과 습기는 옷 바깥으로 배출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기름으로 옷의 오염을 제거하는 드라이클리닝은 멤브레인을 손상시킨다. 표백제나 섬유유연제 역시 멤브레인을 손상시킬 수 있으니 사용하지 않는 게 좋다.
그렇다면 등산복, 운동복 등 기능성 의류는 어떻게 세탁해야 할까. 섭씨 약 25~30도 정도 미지근한 물에 전용 중성세제를 표준 사용량만큼 넣고 세탁기의 표준 세탁 코스로 다른 의류와 분리해 단독 세탁한다. 이때 지퍼나 단추는 모두 잠근다. 애경에서 내놓은 기능성 의류 전용 세제 '울샴푸 아웃도어'는 땀의 주요 성분인 피지 같은 지방 오염 세탁에 적합하면서도 기포 발생이 적은 세제로, 일반 세탁기와 드럼세탁기는 물론 손세탁에도 사용할 수 있다.
기능성 의류의 발수력을 떨어진 경우 드럼세탁기의 건조기능을 활용해보자. 기능성 등산복이나 운동복을 세탁한 다음 드럼세탁기의 건조 기능을 이용해 중간 온도로 건조시키면 발수력을 어느 정도 회복시킬 수 있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발수처리제를 활용해도 된다.
◇오염 심한 부분은 애벌빨래 후 그늘에서 건조
목 깃이나 소매 등 때가 특히 쉽게 타는 부분은 울샴푸 아웃도어를 물에 희석해 바른 다음 세탁용 솔로 가볍게 문질러 오염을 제거해주면 된다. 이때 의류를 비비거나 짜면 멤브레인이 훼손될 수 있다. 가능한 한 짧고 가볍게 문지른다. 오염이 제거되면 세탁해 건조하면 된다. 비틀어 물기를 짜는 행동 역시 피해야 한다. 약한 탈수코스로 물기를 제거한 다음 옷걸이에 걸어 그늘에서 말린다.
운동화나 등산화는 세탁이 까다롭다. 애경 '홈즈 퀵크린 운동화 크리너'는 거품 타입 운동화 전용 세정제로, 더러운 부분에 뿌린 뒤 부드러운 솔로 문지르기만 하면 세정 거품이 찌든 때를 흡착해 손쉽게 때를 제거할 수 있다. 거품이 신발 안쪽까지 쉽게 도달하기 때문에 때를 제거하기 편리하고, 일반 세제로 세탁할 때 덜 헹궈져 생기던 미끄러움을 최소화한 것도 장점이다. 탈취와 살균 성분이 함유돼 때와 함께 세균과 냄새까지 없앨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