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1 코리아]페르난도 알론소, '힘차게 달려가자!'

세계 모터스포츠의 총아라고 할 수 있는 F1. 첨단 자동차기술의 집합체로도 불리는 F1과 관련된 재미난 의미를 숫자로 풀어본다.

▲0.078 = F1경주용 차량이 1마력의 힘을 내는 데 필요한 연료는 0.078리터다. 양산차는 1마력의 힘을 내는데 평균 0.09리터를 소비한다. F1 경주용 차량의 엔진 효율이 양산차에 비해 20% 정도 좋은 셈이다.

▲1.6 = F1 머신이 주행 시 공기가 차체를 아래로 누르는 힘인 '다운포스'가 발생한다. 시속 350㎞로 달릴 때 경주용 차량의 앞바퀴에 가해지는 다운포스는 1.6톤에 달한다. 이 때 뒷바퀴의 다운포스는 1.1톤이다.

▲1.9 = F1 차량이 시속 200㎞로 달리다가 완전히 정지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단 1.9초다. 이때 필요한 제동거리는 55m이며 드라이버가 느끼는 압력은 자기 몸무게의 5배다. ▲2.4 = F1 차량이 정지상태에서 출발해 시속 100㎞까지 속도를 내는 데 걸리는 시간은 2.4초다. 시속 200㎞까지는 5초가 소요되며 이 때 필요한 거리는 고작 140m뿐이다.

▲2.9 = 일반적으로 경주용 차량들이 피트에서 4개의 바퀴를 교환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2.9초에 불과하다. 피트 크루들은 3초가 걸리지 않는 시간에 일사불란한 동작으로 타이어를 교체한다. 이 모습은 F1을 즐기는 또 다른 재미다.

▲24 = 각 팀이 레이스현장에서 동시에 지켜보는 모니터는 24개에 달한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랩타임과 기상 및 뉴스 채널, 서킷 지도, 텔레메트리 데이터, 피트 스톱 시간, 타이어 관련 정보 등이 동시에 볼 수 있다.

▲50 = 경기 중 F1 경주용 차량의 운전석 온도는 무려 50도나 된다. 드라이버는 레이스 중에 2리터에 가까운 많은 땀을 흘린다. 이는 테니스선수가 풀 세트의 접전을 펼쳤을 때의 체력 소모와 비슷한 수준이다.

▲60= 고성능 F1 엔진을 제작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60시간이다. 양산차와 비교해 재미있는 것은 무게 대 마력의 비율이다. 양산차가 1㎏당 0.09마력의 힘을 내는 반면 F1 경주용 차량은 1㎏당 1.5마력을 낼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80 = 개별 경주에 투입되는 팀원은 보통 80명 가량이다. 유럽이 아닌 다른 지역에서는 20명이 줄어든 60명 정도가 투입된다. 그러나 F1 팀을 구성하는 인원은 평균 6000명에 달해 실제 경주에 나서는 인원은 극히 일부에 속한다.

▲100 = 경주용 차량이 빠르게 달릴 때 타이어는 100도까지 온도가 상승한다. F1에 사용되는 타이어의 적정 온도는 90도. 이보다 낮을 경우 제 성능을 낼 수 없기 때문에 모든 경주용 차량은 출발을 앞두고 타이어워머라는 일종의 전기장판을 바퀴에 감아둔다.

▲120 = 각 팀이 매 경주마다 먹는 과일은 무려 120㎏이나 된다. 2009년에는 팀 당 평균 140㎏, 생선 100㎏, 과일 120㎏, 야채 90㎏, 치즈 40㎏, 달걀 1000개, 빵 1800개, 물과 음료수 2500ℓ를 소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500 = 카본 소재로 만들어진 F1경주용 차량의 브레이크 디스크와 패드는 최소 작동 온도가 500~650도다. 브레이크가 작동할 때는 1000도 이상까지도 올라간다. 이 때 발생하는 높은 온도는 에너지재생장치(KERS)를 이용, 80마력의 힘으로 변환될 수 있다

▲640 = KERS의 재도입으로 2011년 F1경주용 차량의 최저중량은 640㎏까지 상향 조정됐다. 이는 차량의 무게와 드라이버의 몸무게가 더해진 수치다. 통상적으로 F1 경주용 차량은 신소재의 사용으로 무게를 절감해 400㎏에 불과하다.

▲700 = 한 경주에서 소모되는 타이어는 700개 정도다. 타이어 공급업체는 성격이 다른 두 종류의 타이어와 함께 우천시를 대비한 특수 타이어도 준비해야 한다. 다만 올 해부터 경주 기간에 각 팀에 지급되는 타이어는 14세트에서 11세트로 줄어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