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병 훈련소나 군부대에서 집단생활을 하는 장병에게 뇌수막염이 종종 발생해 사망 사례가 발생하는 것은 그동안 군 의료계의 '공공연한 비밀'로 여겨져 왔다. 뇌수막염 환자의 3분의 1 정도는 20세 전후 젊은 층에 생기며, 특히 군대나 대학교 기숙사와 같은 집단 거주지에서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이 때문에 미국은 군인들에게 '뇌수막균 백신'을 무상으로 접종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뇌수막균 백신이 아예 전무한 실정이다. 백신 접종을 하면 약 95%에서 예방효과가 있다.

군대에서 한해 10여명 발생

지난 2001~2002년 국군수도병원 군의관이었던 서울아산병원 감염내과 이상오 교수는 당시 군인들의 뇌수막균 감염 실태를 조사해 대한의학회지(2003년)에 발표했다. 이 연구에 따르면 한 해 육군에서 12명의 뇌수막균 감염 환자가 발생했다. 한 달에 한 명꼴로 군인 환자가 발생한 셈이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스냅샷으로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그중 2명은 뇌수막염 증세가 본격적으로 나타난 지 24시간 이내 사망했다. 8명은 뇌수막균이 혈액을 통해 전신으로 퍼지는 패혈증까지 갔다가 극적으로 회복됐지만 절반은 뇌기능 이상, 피부 궤사 등 후유증이 남았다. 이에 따라 연구팀은 집단생활을 하는 군인들에게 뇌수막균 백신 접종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군대 내 뇌수막균 감염 실태를 알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논문이다.

일반적인 고열 증세 초기에 항생제를 쓰면 이 균이 혈액 검사 등에서 검출되지 않을 수 있어 실제 뇌수막균 감염 환자는 더 많을 것을 추산된다. 일반적으로 이 균에 의한 뇌수막염은 인구 10만명당 4~5명 발생한다. 뇌수막균 감염은 법정 전염병 3종으로 분류되며 환자를 확인한 병·의원은 7일 이내 보건당국에 전염병 발생 신고를 해야 한다.

미국은 모든 군인 백신 접종

미국 질병관리본부(CDC)와 예방접종위원회는 특히 뇌수막균 감염 취약 계층인 11~18세에는 백신 접종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또 군인과 기숙사에서 생활하는 학생들, 감염 유행지역인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 여행객에게도 백신을 권한다. 뇌수막균 유형은 10여 가지가 있으며 이 중 뇌수막염을 주로 일으키는 것은 A, B, C, Y, W135 등 4~5종이다. 이번에 논산훈련소에서 집단 발생을 일으킨 뇌수막균은 W135형이다.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이 백신을 상용화해 시판하고 있지만 국내에는 전혀 들어와 있지 않다. 이 백신을 판매하는 다국적 제약사 관계자는 "한국 정부에서 수입을 요청한 제의가 없었고, 아직 시장성도 없다고 판단해 국내에 들여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 비용은 약 5만원이다. 성인은 1회 접종으로 끝나며 접종 열흘 후 면역력을 갖는다.

고려대구로병원 감염내과 김우주 교수는 "군대를 의무적으로 가는 상황에서 장병 건강은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며 "우리나라 경제 수준으로 봤을 때 군인에게는 국가가 백신 접종을 해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