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국장은 여자관계가 너무 복잡하다' 'B실장은 스폰서(후견인)가 한둘이 아니다'.
인사철이 되면 관가(官街)에는 진급이 유력시되는 인사들을 흠집 내는 투서가 쏟아진다. 정부 사정 당국 관계자는 11일 "각 부처의 정기 인사가 있는 연말이나 연초에는 승진 대상 공무원에 대한 투서가 총리실이나 감사원·국민권익위원회 등 공직 기강을 관리하는 정부기관으로 집중된다"고 했다.
관가로 배달되는 무기명 투서는 서울 광화문이나 과천 정부청사로부터 반경 200m에서 날아든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내부 고발자'가 많다. 같은 부처에서 일하는 공무원들이 경쟁자들을 진급에서 떨어뜨리기 위해서 투서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권력기관일수록 '투서질'이 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 관계자는 "투서는 대체로 군과 검찰·경찰, 국세청 등 권력기관으로부터 오는 경우가 많다"고도 했다. 소위 '끗발'이 센 정부기관일수록 투서를 통한 '인사(人事) 전쟁'은 치열해진다는 뜻이다. 또 검찰이나 외교부처럼 동일한 고시(考試)를 거친 조직일수록 투서가 더 많다는 이야기도 있다.
인사철에 몰리는 투서는 뇌물 수수 등 범죄에 관한 것보다는 '바람을 피우고 있다' '술만 먹으면 단골 유흥주점에 간다'는 식의 개인 신상에 관한 것이 많아 조사를 하기 쉽지 않은 사안이 대부분이다. 정부 관계자는 "인사철이 되면 특정 공무원이 기업 관계자들에게 돈이나 접대를 받았다는 투서가 단골메뉴처럼 들어온다"며 "확인을 해보면 연말 동창회에 참석한 것을 두고 접대를 받았다고 하는 등 황당한 경우도 있지만 투서 내용보다 더 악성(惡性)으로 밝혀지는 사례도 있다"고 했다.
사정 당국 관계자들은 "투서는 여전히 공직 비리 색출의 중요한 단서"라고 했다. 투서는 대체로 비리를 저지른 공무원의 경쟁자나 함께 근무한 사람 등 내부 사정에 밝은 사람이 넣기 때문에 공직 비리를 밝혀내는 데 유용한 실마리가 된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