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오전 대전광역시 중구 제빵업체 '성심당' 앞. 임영진(57) 대표가 여러 가지 빵을 60개씩 넣은 상자 2개를 두 팔 가득 안고 나왔다.

"어르신들이 여기 빵 맛을 잊지들 못하세요. 잘 먹겠습니다." 대전노인요양원에서 온 사회복지사 김대현(49)씨가 고맙다고 하자 임 대표는 "더 못 드려 죄송하다"고 했다.

대전‘성심당’임영진(오른쪽) 대표가 대전 서구 새하늘교회 목사 김병모씨에게 모아둔 빵을 건네고 있다. 선대로부터의‘빵 기부’전통은 손자 대에도 이어질 예정이다.

성심당은 1956년 설립 이후 55년째 당일 팔리지 않은 빵들을 모아 다음날 아침에 기부하고 있다. 아동센터나 외국인노동자센터 같은 복지단체 150여 곳이 대상이다. 이 전통은 30년 전에 돌아가신 아버지 임천규씨의 뒤를 이어 임 대표가 2대째 이어가고 있다.

임씨의 아버지는 평안도 함주에서 과수원을 운영하다가 1951년 1·4후퇴 때 구사일생으로 남한으로 넘어왔다. 당시 그는 '살아서 남으로만 갈 수 있다면 반드시 가난한 이웃을 위해 봉사하며 살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그는 월남 후 대전역 앞에 3평(약 10㎡)짜리 허름한 찐빵가게를 차렸다. 찐빵 300개를 만들면 100개는 전쟁통에 버려진 고아나 노숙자들에게 나눠줬다.

제빵업체들은 그날 팔리지 않아 남은 빵을 다음 날 절반 정도 값에 파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성심당은 남는 빵은 단 하나도 팔지 않는다. 임 대표는 "매일 빵을 6000개 정도 만드는데, 보통 400~500개를 나눠주게 된다"고 했다. 남는 빵은 1000원짜리 모닝빵부터 2만~3만원짜리 케이크까지 400가지에 달한다. 값으로 친다면 한 달 평균 1000만원어치는 된다. 때로 복지단체들이 급하게 빵을 요청해오면 아예 새로 구워서 기부하기도 한다.

성심당은 간식비를 마련하기 힘든 40개 영세 복지단체에는 매달 서너 차례씩, 형편이 좀 나은 110개 단체에는 두 달에 한두 차례씩 빵을 전달한다. 임 대표는 "직원들 사이에선 '우리도 남는 빵은 팔아 이윤을 더 남기자'는 말도 나오지만 돈을 얼마 더 버는 것보다 어려운 사람을 돕는 것이 더 가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6년 전부터 매주 성심당 빵을 받아 노숙자들에게 나눠주는 예수수도회 오영자(61) 수녀는 "욕도 심하고 거칠기만 하던 노숙자들이 빵 하나를 건네는 온정에 상담에 응하는 경우도 많다"고 했다. 성심당의 빵 기부는 3대째로 이어질 것 같다. 임 대표로부터 업체를 물려받을 예정인 아들 대환(25)씨는 "소중한 전통인 만큼 계속 실천하고 싶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