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능 공부로 비틀어진 척추가 작은 키 만들어

수능을 앞둔 수험생들의 대부분이 좌우 어깨가 다르거나 목이 앞으로 구부러진 일자목이나 거북목 그리고 고개가 한쪽으로 기울어진 척추측만증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척추측만증은 척추의 변형으로 허리가 C자 또는 S자로 휘어져 골반이나 어깨의 높이를 차이 나게 만드는 질환이다. 보통 성장기 소아 청소년들에게 원인을 알수 없이 많이 발생하지만 의자에서 생활이 많은 요즘은 성인들에게도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한번 휘어진 척추는 성장기 동안 키가 크는 과정에서 그 각도가 점점 심해지게 돼 근골격계와 신경계통의 틍증을 일으키는 것은 물론 청소년들의 가장 큰 고민 중 하나인 작은 키의 원인이 될수 있다. 이렇다 보니 수험생들 중에는 수능시험 후 미뤘던 척추측만증 치료를 받으려는 이들이 많다고 한다.

◇수험생 척추측만증 급속 진행돼
수험생들은 전형적인 척추측만증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척추측민증은 사춘기 전후 1~2년 사이에 급속히 진행되기 때문이다. 불안정한 자세로 장시간 수험공부를 하는 수험생들은 척추측만증에 불편함을 호소하게 된다. 척추측만증은 단독으로 있을 경우에는 아프지 않아서 잘 발견되지 않지만 거의 대부분이 척추가 옆으로 휘어지면서 머리와 골반에 회전 변형이 동반되기 때문에 통증이 병행된다. 허리 및 경추부위의 만성적이고 잦은 염좌, 목과 어깨, 날개뼈 주위의 만성적인 동통과 근육결림 증상이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소화불량, 식욕저하, 만성설사 및 변비, 복통 등 내장장기의 정상위치 이탈로 인한 해당 장기의 기능 저하도 있을 수 있다.

◇수술적 치료 VS 보조기 치료
척추측만증은 심한 경우나 급속히 진행될 경우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할 수 있지만 수술과정과 수술 후 회복 및 재활과정, 수술후유증 등을 생각하면 비수술적인 치료가 권장된다. 측만이 유연하고 측만 각도가 20~40도라면 보조기 치료가 더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다. 척추의 성장을 허용하면서 만곡을 교정하고, 환자의 성장이 완료될 때까지 교정을 유지해 만곡의 진행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그러나 보조기 역시 어린나이에 착용을 해야되며 수동적인 개념이기 때문에 한계가 있을수 있다. 보통 어린 나이일수록 교정 효과가 좋으며, 척추측만증 전문병원에서 전신 체형분석 및 생체역학적 족부스캔검사, MFT 컴퓨터밸런스 검사 등 본인의 측만 정도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맞춤 척추교정 및 강화 운동처방 프로그램과 생체역학적 맞춤발보조기깔창 처방을 병행하면 몸의 변화를 느낄 수 있다.

강남수재활의학과 박성익 원장은 “바른 앉는자세란 허리띠를 매는 부위는 약간 앞으로 들어가고 엉덩이 쪽으로는 약간 뒤로 볼록 나오는 자세다. 그리고 가슴을 펴고 목을 뒤로 당겨앉는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항상 척추를 곧게 펴는 습관을 가져야 척추측만증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몸은 기계부속처럼 바꿀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미 척추측만증이 나타났다면 조기진단이 가장 중요하며 정기적 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치료하야 할 것이다”라고 조언했다. /생활경제팀 osenlife@ose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