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서비스 화면 캡처

실제 거리 사진을 찍어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업체의 지도 서비스가 청소년 유해장소까지 여과 없이 보여줘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서비스는 청소년들도 별다른 인증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어 문제로 지적된다.

국내 최대 포털 네이버의 실사지도 서비스인 네이버 ‘거리뷰’는 실제 거리를 360도 회전해 보여준다. ‘거리뷰’는 '항공뷰'와 연계해 하늘에서 찍은 지역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네이버의 '길 찾기'와 접목돼 특정 지역으로 찾아가는 경로 전체를 '거리뷰'를 통해 미리 찾아볼 수도 있다.

하지만 서울 영등포역과 용산역 일대의 집창촌 등 유해업소의 모습도 등장해 말썽이 일고 있다. ‘청소년 출입금지 구역’이라는 팻말이 세워진 장소도 나오고, 일부 장소는 내부 모습까지 보인다.

다음 ‘로드뷰‘, 네이버 ’거리뷰‘ 등 실사 지도 서비스는 도입 초기부터 개인정보 수집에 따른 사생활침해 논란이 있었다. 포털업체들은 논란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주로 대낮에 사진을 촬영하고 차량번호판이나 사람 얼굴도 모자이크로 가리는 조치를 취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방대한 용량의 사진정보를 전부 걸러내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대해 네티즌들은 "청소년들에게 집창촌이 있는 곳을 홍보하느냐", "청소년 유해 장소는 자진 삭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