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수치는 유명환 장관

유명환 외교통상부(외교부) 장관의 딸 '특채(특별채용)' 파문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음서제 부활'이라는 비난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고, 이와 관련된 각종 폭로도 잇따르고 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홍정욱 의원이 5일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감자료에 따르면 지난 1997년부터 2003년까지 7년간 외무고시 2부 시험의 합격자 중 41%가 전·현직 장·차관 및 3급이상 고위직 외교관 자녀인 것으로 드러났다.

외시 2부 시험이 합격생을 1년에 3명 정도 뽑는 점에 비춰 매년 한두 명씩 고위직 외교관의 자녀가 채용된 셈이다.

유 장관의 딸이 특채로 합격한 외교부 자유무역협정(FTA) 통상직 5급 사무관의 응시 요건도 유 장관의 딸의 응시에 맞춰 자격이 완화됐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지난해 9월 외교부 웹사이트에 올라온 채용공고에는 FTA 통상직 5급 사무관의 응시자격이 "국내외 변호사 자격증 소지자 또는 관련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한 자로서, 텝스(TEPS) 800점 이상인 자"로 돼 있었으나 유 장관 딸이 시험에 응시한 지난 7월 공고에는 "관련분야 학위를 취득한자 또는 관련분야 석사학위 취득 후 2년 이상 관련분야 근무 경력자로서, 텝스 800점 이상인 자"로 완화됐다.

유 장관 딸의 특채 논란과 관련, 딸 A씨의 근태 문제도 구설수에 올랐다.

A씨는 지난 2006년 6월 특채로 FTA 무역규범과 등에서 계약직으로 근무하면서 개인 사정으로 무단결근을 했고, 이를 무마하기 위해 A씨의 어머니가 담당 과장에게 전화를 걸었다는 것이다.

A씨는 또 당초 2년 계약이었던 것을 연장해 지난해 9월까지 3년 3개월여 동안 근무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여야 할 것 없이 유 장관의 특채 논란에 대해 유감을 표명하고 나섰고, 야당에서는 유 장관의 문책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졌다. 심지어 이명박 대통령까지도 "진상을 철저히 조사하라"는 지시를 내렸지만 성난 민심은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홍정욱 의원은 "외교부가 순혈주의를 극복하고 다양한 인재들을 등용하기 위해 채용과정을 다각화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국민적 공감대 위에서 개혁해야 성공할 수 있는데 지금과 같이 객관성과 공정성 담보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런 개혁이 성공하기 힘들다"고 비난했다.

유 장관이 사의 표명과 함께 특채 논란을 공식 사과하고 유 장관의 딸도 특채 응모를 자진 취소했지만 특채 논란의 여파는 계속 확산되고 있다.